中企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서류간소화·불법 브로커 차단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1월 5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1월 5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인공지능(AI) 중심의 지원사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기업이 직접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절반 이상 감축하고 불법 브로커 등 부당 개입도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지난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와 AI를 중심으로 한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중기부는 흩어져 있던 기업 지원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기업마당)’을 구축한다.

현재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로 나뉜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해 정부와 지자체 등 2700여개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 지원사업 공고를 제공한다. 새 플랫폼에서는 중소기업 확인서 등 21종의 각종 인증서를 한 번에 발급 받을 수 있고, 로그인만으로 사업 신청까지 가능한 원스톱 서비스가 도입된다.

특히 생업에 바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일일이 사업공고를 찾아 읽어야 했던 불편을 AI 기술로 해결한다. AI가 기업의 업종·지역·수혜 이력 등을 학습해 최적의 지원사업을 추천한다는 것이다.

행정절차의 디지털화로 서류 부담도 50% 이상 줄어든다. 지원사업 신청 시 기업이 직접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평균 9개에서 4.4개로 감축한다. 사업자등록증, 재무재표 등은 행정안전부의 행정정보공동이용 및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와 연계해 지원기관이 직접 확인한다.

현재 43% 수준의 연계율은 내년까지 96%로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AI가 기업정보와 사업계획서 양식, 우수 계획서를 분석해 신청기업에 맞춤화된 사업계획서 초안도 작성해준다.

불법 브로커 개입을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도 강화된다. 불법 브로커의 공공기관 사칭, 허위광고 등을 지속 관찰해 제거하고, AI를 활용해 대리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적발한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13개 지방 중기청과 7개 산하 공공기관에 신고 채널을 운영하기로 했다.

한성숙 장관은 “이제는 공공도 서비스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며 “중소기업 지원체계가 사람 중심의 방식으로 직관적이고 친숙하며 손쉬운 시스템으로 개선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