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2차 정책연구포럼
‘규모화·전문화 전략’ 집중 논의
![25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린 '제2차 중소기업협동조합 정책연구포럼' 참석자들이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조합원 증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중기중앙회 협동조합연구소]](https://cdn.kbiznews.co.kr/news/photo/202511/112944_75150_556.jpg)
중소기업중앙회는 25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조합원 증대 방안’을 주제로 제2차 중소기업협동조합 정책연구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정책 과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산업구조 변화와 경쟁 심화로 협동조합의 양적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포럼은 조합 규모 확대와 전문화 전략을 통한 자립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장으로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조합원 수 증대가 곧 조합의 사업역량과 수익구조를 좌우한다”며 조합원 확대가 협동조합 활성화의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장종익 한국협동조합학회장은 주제 발표에서 “그동안 중소기업 정책이 업종보다 제품 중심, 협력보다는 경쟁 중심으로 추진되면서 협동조합이 과도하게 세분화됐다”며 “조합 간 합병과 네트워크 경쟁력 강화로 업종 대표성을 확보하고, 공동구매·인력·R&D 등 백오피스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독일·프랑스 등 해외 사례를 언급하며 “디지털 기반 협업 플랫폼 구축과 표준화 전략이 조합원 확대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현정환 동국대 교수, 한창용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정책컨설팅센터장, 김수환 중소기업과협동조합연구소 소장, 양순정 한국고분자소재연구조합 사무국장, 정오균 한국주택가구협동조합 전무이사, 정희성 한국수퍼체인유통사업협동조합 본부장 등이 참여해 업종별 조합 사례와 정책 방향을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업종별 협동조합의 공익적·산업생태계적 역할 강화,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확대, 공동사업 모델 개발 등이 조합원 증대와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필수 조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윤위상 중소기업협동조합연구소장은 “공동사업 활성화는 조합원 참여 확대와 업종 경쟁력 제고로 이어지며, 지방소멸 위기 극복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과 기업 참여를 연결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