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뿌리산업委 개최
수요자원 시장 활성화 방안 제시
온실가스 감축목표 등 현안 공유
에너지 전환 지원책 마련도 촉구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2025년 제2차 뿌리산업위원회(위원장 박평재)’를 개최됐다. 위원회는 금형, 주물, 소성가공 등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현안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날 위원회에는 박평재 뿌리산업위원장(한국표면처리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을 비롯한 뿌리산업 업종별 협동조합 이사장과 새롭게 위원으로 위촉된 △고승진 산업통상부 뿌리산업팀장 △채창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소장 등 외부 전문가를 포함해 15명의 위원이 참석했다.
먼저 위원회는 △전기 등 에너지비용을 납품대금 연동제 대상에 포함하는 상생협력법 개정안 국회 통과 △정부의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립 추진 등 뿌리산업 관련 현안에 대해 공유했다.
위원들은 과도한 산업용 전기요금으로 인한 에너지비용 부담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으로 더욱 심화될 것을 우려하며 감축 과정에서 전기요금 제도 합리화와 산업 현장의 에너지 전환 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고승진 산업부 뿌리산업팀장의 ‘2026년도 뿌리산업 정책방향 및 지원사업’에 대한 설명과 김재혁 한마음재단 연구위원의 ‘산업용 전기요금 제도 개선방안’ 발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김 연구위원은 현행 전기요금 피크연동제가 기업의 에너지비용 부담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피크연동제는 연중 최대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1년간 기본요금을 산정·부과하는 제도로, 한 번이라도 피크가 높게 설정되면 그해 내내 과도한 기본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구조다.
그는 이러한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전력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요자원(DR)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DR시장은 전기 사용량을 절감한 기업이 절감분을 전력시장에 판매해 보상받을 수 있는 제도로,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위원들은 피크연동제로 인한 부담이 과중하다는 데 공감하며, 에너지 사용 효율화를 유도할 수 있는 합리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박평재 뿌리산업위원장은 “전반적인 산업 진흥정책과 더불어 에너지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책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뿌리산업위원회가 산업계의 소통창구로서 주도적으로 현안을 발굴하고 현장 의견을 개진해 업계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