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위기지원센터 지난해 모니터링 분석결과
원자재 값·인건비 등 급등에 지역경제 버팀목 흔들
중기부·테크노파크진흥회·테크노파크 ‘원팀’ 가동
위기지원센터 7곳 추가, 정부·지자체와 공동 대응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인한 지역 중소기업의 경영위기 고용 악화 인구감소에 따른 소멸 위기지역의 발생 등 지역경제 전반에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20225개 시·(강원·경북·대구·부산·전남)의 중소기업 밀집지역 551개를 대상으로 밀집지역의 위기징후를 조사·분석한 결과 약 24.3%의 지역에 위기징후가 나타났다.

이는 한국테크노파크진흥회가 <중소기업뉴스>에 공개한 지난해 상시 모니터링 분석 내용이다.

밀집지역 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응답기업(1560개사) 87.4%는 전년 대비 현재가 위기상태라고 응답했고, 87.8%다음 분기도 경영 악화를 전망했다. 지역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인 중소기업 경영의 위기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무엇보다도 밀집지역 중소기업들은 위기징후의 원인으로 원자재와 인건비 등의 급등 여파를 손꼽았다. 고금리·고물가에 이어 원자재난·인건비난이 더해지면서 사중고에 빠진 것이다.

 

지역 중소기업 현장 밀착지원

앞서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역 중소기업의 위기대응 및 활력회복 지원을 위해 지난해 1월에 시행된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촉진 등에 관한 법률’(지역중소기업법)에 따라 5개 시·도 소재 테크노파크에 지역중소기업 위기지원센터’(위기지원센터)를 설치했다.

현재 중기부는 지역 중소기업 위기관리 대응의 핵심 파트너 기관으로 한국크노파크진흥회와 전국에 포진해 있는 테크노파크와 함께 원팀으로 함께 손잡고 관리 체계를 본격 가동 중이다.

테크노파크는 전국 17개 시·도에 19개 테크노파크가 설립돼 있다. 지역 중소기업 현장에 밀착해 지역산업 육성 및 기업 지원 거점기관의 역할을 수행 중에 있다.

각 지역에 설치된 위기지원센터는 중소기업 밀집지역의 사업장수 종사자수 총급여 등 주요 지표를 상시모니터링해 지역경기동향을 살피고 밀집지역의 위기징후를 조사·분석한다.

 

체계적·선제 위기대응

그동안에 중소기업 밀집지역은 지정 근거에 따라 관리주체가 분산돼 있어 상시적인 조사·관리 체계가 부재했었고, 밀집지역 단위 기업 현황 파악도 녹록지 않았다.

김영집 한국테크노파크진흥회장은 위기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해 지역 중소기업의 위기상황에 체계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역 테크노파크에 위기지원센터가 설치됐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밀집지역이란 산업단지,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벤처기업집적시설 등 지역중소기업법시행령 제14조 제1항에 규정된 지역으로 전국에 총 2185개 중소기업 밀집지역(사업장 수 약 13만개)이 분포하고 있다.

경기도가 590개로 밀집지역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며 이어 서울시(277), 경남(178), 경북(175), 충남(150), 충북(141) 순으로 나타났다.

 

제도개선·예산확보 대책 수립

정부는 지역 중소기업 위기관리체계를 견고히 하기 위해 위기지원센터의 대폭 확장을 추진 중이다. 올해부터 위기지원센터를 기존 5개 지역에서 비수도권인 경남, 광주, 대전, 울산, 전북, 충남, 충북 등 7개 중소기업 밀집지역을 추가해 총 12개로 확대 설치하게 된다.

중기부는 보다 넓은 범위의 중소기업 밀집지역을 모니터링하고 지원할 계획으로 내년에는 전국 17개 시·도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김영집 한국테크노파크진흥회장은 전국 위기지원센터(테크노파크)와 함께 지역 중소기업 위기대응 체계의 중심에서 중앙부처, 지자체, 유관기관과 함께 지역경제위기를 예방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위기의 즉각적 대응 및 제도개선과 예산확보 정책을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