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펜데믹을 거치면서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은 경영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협동조합을 통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해 나가는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이 있다. 한국수퍼체인유통사업협동조합(이사장 김재면)은 소매 수퍼마켓이 대기업 유통업체와 동일한 단가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생큐마트몰’을 운영하고 있다. 조합은 조합원사에 생큐마트몰사업 참여의 동기를 부여하고 호응을 이끌어 내면서 매년 매출이 급신장하고 있다. 2014년 첫해 17억원이었던 매출은 2022년 232억원으로 성장했다. 협동조합 공동사업의 힘이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은 우리나라에서 60년 이상 지속적으로 발전해 오면서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과 고용창출에 기여해 왔다.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실제로 협동조합의 조합원사는 개별 중소기업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율이 17%나 높고, 고용창출효과는 무려 40.4%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하는 공동사업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규모의 경제, 효율성 향상을 통해 조합원의 판매비와 관리비 감소로 이어져 조합원의 영업이익 증가, 종업원수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양적 감소세는 두드러지고 있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은 2018년 939개에서 2023년 현재 918개로 줄었다. 협동조합의 조합원수는 7만2031개사에서 6만7001개로 5030개사가 줄었다. 이는 2007년 단체수의계약제도 폐지 이후 이렇다 할 공동사업을 확실하게 구축하지 못한 협동조합이 많기 때문이다. 조합의 여건도 녹록치 않다. 조합의 평균 임직원은 3명이고 임직원이 없는 조합도 12%나 된다. 많은 조합들이 자금이 부족해 조합원 회비로 공동사업자금을 충당하는데 이 때문에 성패여부가 불확실한 신규 공동사업에 조합원 참여를 이끌어 내기는 더욱 어렵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수행비율은 78.5% 수준이며, 사업 유형은 공동구매(31.8%), 조달시장 참여지원(14.1%)이 주를 이룬다. 수행하는 공동사업의 개수는 평균 1.5개 수준으로 사업 다각화도 시급하다.

중기중앙회는 2019년부터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기반 마련을 위해 광역지자체가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조례를 제정해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3개년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그 결과, 전국의 17개 지자체가 조례를 마련했고, 이중 15개 광역지자체는 협동조합 지원사업비로 올해 24억원을 책정해 지원하고 있다. 94개 기초지자체도 지원조례를 제정해 협동조합이 분포한 지역의 87% 이상의 기초지자체가 조례를 완성했다. 뿐만 아니라 정부지원에 소외됐던 협동조합이 중소기업 지위를 인정받아 정부가 시행하는 중소기업지원사업에 직접 참여할 기회도 주어졌다.

조합의 공동사업에 직접사업비를 지급하는 사업도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지난해 협동조합의 연구개발을 위해 조합당 최대 10억을 지급하는 성과공유형 공통기술 R&D 사업을 시작으로 조합당 최대 9000만원을 지급하는 혁신형 공동사업, 공동사업 인건비를 매달 200만원 한도로 지급하는 전문 인력지원 사업도 신설됐다.

이제 협동조합은 마련된 제도를 발판삼아 공동사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우선 지자체 조례와 지원 예산을 십분 활용해 공동사업의 마중물을 붓고, 추진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성공 여부가 불확실한 공동사업을 조합이 추진하기 위해서는 조합원과의 신뢰 관계가 중요하다. 조합원의 니즈를 최우선에 두고 조합원의 애로를 해결해 주며 신뢰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타 조합의 공동사업 성공사례를 벤치마크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합원 및 조합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상호협력을 활발히 진행하며 서로의 사례를 통해 배워가야 한다.

결국 협동조합의 생존은 공동사업이 성패를 가른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이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