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인의 목소리가 정책에 직접 반영되도록 하겠다.” 지난 15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중소기업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공약한 내용이다. 앞으로 2주 뒤면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다. 초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는 여성 벤처기업인 출신 이영 의원을 지명했다. 시작은 긍정적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후보시절 약속한 공약을 실천하고, 중소기업 정책 거버넌스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최우선 과제는 대·중소기업 양극화 해결이다.

전체기업의 0.3%인 대기업이 영업이익의 57%를 차지하고, 99%의 중소기업은 25%에 불과한 양극화된 경제구조를 혁신해야 한다. 특히 지난해 코스피 상장 대기업들의 영업이익은 200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인 184조원을 기록한 반면, 중소기업은 원자재 가격 급등과 물류비 상승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중소기업 양극화 문제를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된다. 강력한 리더십을 통해 법과 제도를 만들고, 민간차원의 상생협력 문화가 조성되도록 길을 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윤 당선인이 후보시절 공약한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과 대통령 직속 상생위원회 설치는 양극화 해소를 제도적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의 활성화를 위한 전담 조직을 신설해야 한다. 일본은 인구 12천만 명에 협동조합이 36000개로 지역경제의 중심인 반면, 한국은 인구 5천만 명에 협동조합이 920여개 불과하다. 정부 내에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담 조직이 없다보니 정책은 분산되고, 지원 사업은 턱없이 부족하다.

대한민국 헌법 123조에는 국가는 중소기업의 자조조직을 육성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이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어려운 개별 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협동조합을 중소기업 성장 플랫폼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중소벤처기업부에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담조직을 신설해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각 부처와 광역지자체를 아우르는 협력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중소기업 정책 컨트롤 타워를 일원화해야 한다.

뿌리산업은 99%가 매출액 1천억 미만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상황에서 정부의 지원정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로 이원화돼 효율성은 저하되고, 기업 일선에서는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생산기술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있다. 이는 중소기업 현장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연구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효과적인 정책수립과 집행을 위해서는 정책수요자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중소기업 정책은 현장 중심이 돼야 한다. 고용의 83%를 차지하는 688만 중소기업이 정책 대상을 넘어 정책 수립과 집행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 조직을 혁신해야 하는 것이다. ‘책상이 아닌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는 윤 당선인의 의지가 현실화 돼 새정부에서는 중소기업이 신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으면 한다. 이를 기반으로 대ㆍ중소기업간 양극화가 해소되고, 두터운 중산층이 형성돼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행복한 복지국가 실현이 앞당겨 지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