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팀·전문인력 꾸리기 한계
中企 맞춤형 평가지표 마련 필요
정부 정책적 뒷받침이 선결과제

이지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이지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심화함에 따라 지속가능성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지속가능성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기업의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딴 ESG 이슈가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대기업이 ESG 팀을 구성하고, 이사회 내에 ESG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ESG 경영의 실현을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ESG 경영이란 재무 성과뿐만 아니라 환경과 사회와 같은 비재무적인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경영활동이다. 전통적으로 기업의 주인으로 여겨진 주주의 이익뿐만 아니라 근로자, 공급자, 고객, 지역 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함께 고려하는 경영 기법인 것이다.

ESG 경영을 성과 평가하기란 쉽지 않다. 환경이나 사회 부문에 투자하면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주주의 이익과 ESG 경영에는 단기적으로 상충이 발생한다. 또 투자자와 소비자들이 기업의 ESG 성과를 직접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에 ESG 평가기관에 의존하게 되는데 평가기관마다 결과가 다르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은 그린 워싱(Green washing)이다. 이는 실제로는 친환경 경영, ESG 경영을 하지 않으면서 겉으로만 그렇게 보이게 하는 것을 말한다.

성과 평가가 어렵다고 해서 ESG 경영의 필요성이 약해지는 것은 아니다. ESG는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해 기업 가치를 높이며, 환경 문제, 사회 문제 등으로 곤경에 처해 기업 가치를 손실시킬 위험을 사전적으로 통제하는 위험관리 기능을 하고 있다. 단기적인 비용이 발생함에도 ESG 경영은 장기적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전략이기에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ESG 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ESG 관련 법규와 의무 사항들이 대부분 대기업을 향하고 있지만, 이러한 부담은 점차 중소기업으로 확대될 것이다. 하지만 많은 중소기업에 ESG는 아직 먼 나라 이야기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원이 한정돼 있다 보니 ESG 전담팀을 꾸린다든지 전문 인력을 고용하기 어렵다. 신생 중소기업의 경우 기업의 생존을 위해 모든 자원을 쏟아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재무적 제약은 더욱 심각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장기적 성과를 위한 ESG 경영을 도입하기는 어렵다. 또 대기업들이 부의 축적과정에서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사회에 부의 외부효과를 끼친 것과 달리 중소기업이 사회 문제나 환경 문제를 가중시킨 책임은 상대적으로 작다. 평판이 중요한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ESG 성과를 개선할 유인도 부족하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의 소비자인 대기업이나 해외 기업들, 그리고 금융 조달에 필수적인 금융기관들은 중소기업의 ESG 성과를 공급자와 투자처 선정에 이용할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ESG의 부재는 대기업으로 성장해 나가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므로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은 필수다.

하지만 현시점에서 중소기업을 향한 ESG 관련 잣대는 대기업과 달라야 한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의 ESG는 단기적 성과를 저해하지 않는 차원에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사회적 양극화를 완화하기 위한 ESG 경영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또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체득할 시간을 주어야 하며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한국형 중소기업 기준에 부합하는 투명한 ESG 평가지표의 제시도 필요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위한 협력을 도모하는 정책 마련도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대기업들이 부품 공급자 등 중소기업인 협력 업체에도 높은 ESG 기준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대기업의 ESG 성과 평가에 공급망의 ESG 성과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미 ESG 경영을 실행하고 있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ESG 경영을 돕도록 함으로써 중소기업의 ESG 경영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소기업은 스스로 ESG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자사와 연계된 ESG 이슈를 발굴하고 실천해야 한다. 이를 홍보 및 매출 증대로 연결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서구에 비해 다소 갑작스럽게 ESG 경영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중소기업을 아우르는 제도적, 법률적 정비를 통해 ESG 경영이 장기적인 자본주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아 세계적 추세에 동참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