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청년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노동시장 유연화 나서야"
청년 10명 중 6명은 정년연장이 청년신규채용에 부정적으로 판단
근로의욕 저하시키는 뉴스는 부동산 폭등(24.7%), 물가상승(21.5%)

청년들이 향후 일자리 상황이 악화되고 열심히 일을 해도 부자가 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거주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 일자리 인식 설문조사'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2.9%는 향후 청년 일자리 상황이 악화될 것이라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또한 20대의 69.5%는 원하는 직장에 취업할 가능성도 낮다고 응답해 일자리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청년들이 생각하는 좋은 일자리 최소 연봉은 3천~4천만원

다른 조건이 만족스럽다면 좋은 일자리의 최소 연봉으로 3000~4000만원이라 응답한 청년들이 40.2%에 이르렀다. 4000~5000만원 20.6%, 2000~3000만원 15.2% 순으로 뒤를 이었다.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5~29세의 평균 연간임금 수준 추정치는 3217만원으로 청년들이 좋은 일자리의 최소 연봉으로 응답한 수치 범위 내에 있다.

한경연은 청년들이 좋은 일자리의 조건으로 높은 연봉 외에도 근로 환경 등 다른 조건들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청년들의 근로 의욕을 고취 시킬 다양한 인센티브 고민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평생직장 불가능 65.2%, 은퇴는 61세~65세 30.1%

청년 응답자의 65.2%는 평생직장은 불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으며, 희망하는 은퇴 시기는 61세~65세가 30.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56세~60세가 26.3%로 높았으며, 만 66세 이상에 은퇴하고 싶다는 답변도 19.7%에 이르렀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정년연장이 청년 신규 채용에 부정적 63.9%, 고용시장 유연화도 함께 요구

청년 중 63.9%는 정년연장이 청년 신규 채용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연장을 해야한다면 근로 형태 다양화 등 고용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는 답변이 33.6%로 가장 높게 나왔다.

임금피크제 도입이 27.0%, 직무능력 중심 임금체계 도입(호봉제 폐지)이 22.0%, 연금 수급 연령 상향이 17.2%로 뒤를 이었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정책 방향은? 노동시장유연화(22.4%) 가장 높아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가장 필요한 일자리 정책 방향은 노동시장유연화가 22.4%를 차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용기업 인센티브 확대 18.7%, 창업활성화 15.5%, 기업 성장 방해하는 규제 개선 13.6%, 교육시스템 개편 10.9%, 글로벌 기업 유치 9.6%, 서비스업 육성 8.3% 순으로 조사됐다.  ‘최저임금 인하 내지 동결’, ‘중소기업 개편’, ‘성차별 고용 폐지’, ‘다양한 직군 투자’, ‘귀족 노조해체’ 등의 기타 의견도 있었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 부동산 폭등 뉴스에 가장 근로 의욕 저하, 10명 중 7명은 노력형 부자 될수 없어

청년들의 근로 의욕을 저하시키는 뉴스로는 부동산 폭등이 24.7%로 가장 높았으며, 물가 상승 21.5%, 세금 부담 20.4%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부동산 폭등(29.2%)에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총자산 규모는 10~20억 수준이 23.5%로 가장 높았으며, 20억~50억이 22.9%, 100억~1000억이 20.6%로 뒤를 이었다. 다만 청년들의 70.4%는 열심히 일을 해서 부자가 될 가능성에는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은 “청년들의 부정적인 일자리 인식은 청년 구직단념자 양산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며“노동시장 유연화와 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개혁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청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줄 수 있도록 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