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대 멈춘 건설현장 '비상'…"파업 장기화시 타격 불가피"

건설노조가 타워크레인 총파업에 돌입한 8일 서울의 한 재개발단지에 대부분의 타워크레인이 운행을 중단해 멈춰서있다.
건설노조가 타워크레인 총파업에 돌입한 8일 서울의 한 재개발단지에 대부분의 타워크레인이 운행을 중단해 멈춰서있다.

타워크레인 노조가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전국 건설 현장에 비상이 걸렸다.

건설업계는 단기간 파업은 대체 작업을 진행하며 견뎌낼 수 있겠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공사 일정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우려하고 있다.

8일 전국의 아파트·건물 등 건축 공사 현장의 타워크레인 작업은 대부분 중단된 상태다.

대한건설협회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타워크레인 노조원들이 이날 전면 파업에 나서면서 전국에서 가동 중인 4200여대의 크레인 가운데 약 70%(3000여대)가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추산된다.

건설사 대부분은 양대 노조의 반발과 물리적 충돌을 우려해 비노조원 기사를 투입하는 등 노조를 자극하는 행동은 자제하면서 파업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현재 정확한 파업 상황을 집계하고 있다"면서 "현장마다 상황이 다르겠지만, 건설 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하다. 크레인이 멈추면 공기가 지연되고 비용과 인력 관리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파업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파업이 공사 기간을 늘려 안전 리스크를 키운다는 우려도 나왔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정부가 요즘 안전을 강조하는데 이런 문제로 공사 기간이 늘어나면 안전사고 리스크도 커진다"면서 "공기가 지연되면 입주가 늦어지고, 건설사가 입주민에게 지체보상금을 줘야 해서 밤샘 작업을 하는 등 위험 요인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건설업계는 타워크레인 없이 며칠은 버틸 수 있지만, 그 이상 파업이 길어지면 크레인을 이용한 자재 이동과 골조 공사가 불가능해져 후속 공정에도 막대한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노동관계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쟁의행위 기간에 그 쟁의행위로 중단된 업무의 수행을 위해 당해 사업과 관계없는 자를 채용 또는 대체할 수 없다.

이 조항에 의해 당장 타워크레인이 필요한 현장도 대체인력을 투입할 수 없는 상황이다.

8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이 주최한 타워크레인 총파업 기자회견에서 최동주 위원장이 총파업 선포와 배경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8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이 주최한 타워크레인 총파업 기자회견에서 최동주 위원장이 총파업 선포와 배경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이번 타워크레인 파업은 노조가 임금 인상과 함께 소형 타워크레인 안전 관리 강화 등을 요구하면서 시작됐다.

건설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안전 기준을 위반한 소형 타워크레인 12개 기종, 369대를 국토부가 등록 말소 또는 시정했으나 버젓이 현장에서 사용돼왔다"며 "시민의 안전과 건설 노동자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노조가 요구하는 안전 관리 문제를 대부분 해소했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안전 문제를 전면에 놓고 벌이는 이번 파업의 이면에는 소형 타워크레인 도입에 따른 일자리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무인 타워크레인은 무게 3t 미만의 소형 크레인으로 조종석 없이 리모컨으로 작동하는 기계다. 타워크레인 기사가 아닌 20시간 교육을 받고 실기 시험을 통과한 현장 인력이 크레인을 조종할 수 있다.

한편, 국토부는 양대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자 이날 비상 상황반을 설치하고 안전사고 예방 등 상황관리에 들어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