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전역 3D로 구현, 정보 결합해 시뮬레이션 ‘스마트 행정혁신모델’ 4.1본격가동 
2만5천장 항공사진 AI분석하고 국제표준 인덱스체계 구축… 국가표준 선도적 모델 제시
도시 바람길 도출해 도시계획, 산불확산방지, 미세먼지‧열섬현상 저감 등에 활용

서울시가 605.23㎢에 이르는 서울 전역을 사이버공간에 3D로 동일하게 복제한 쌍둥이 도시, S-Map(3D지도)을 구현했다.

서울시는 이 가상의 공간에 행정, 환경 등의 정보를 결합,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이 가능한 스마트 행정혁신모델인 '디지털트윈 서울 S-Map'를 구축했다고 1일 밝혔다. 1일 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기존에도 3D지도는 있었지만, 도시 전역을 대상으로 도시문제 분석 시뮬레이션까지 가능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축한 것은 국내 최초다. 해외 도시 중에도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가상공간에 실물과 똑같은 물체(쌍둥이)를 만들어 다양한 모의시험(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해 보는 기술을 말한다. 

미국, 영국, 싱가폴 등이 현실과 유사한 디지털트윈 환경을 구축해 시설물관리, 교통사고 예방, 재난 대응 등의 정책에 활용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정부가 세종(5-1생활권역), 부산(에코델타시티), 전주(일부지역) 등 개발되는 지역에 한해 소규모로 다양한 실험을 추진하고 있지만, 도시 전역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트윈은 구축 사례는 없었다. 

서울시는 올해 도시계획‧교통영향평가위원회 등 7개의 위원회 의사결정에 S-Map을 활용해 심의의 객관성․과학성을 높인다. 시 공공건축물 설계공모 전 과정에서도 S-Map이 올해부터 전면 활용된다. 제출작들을 실제 시뮬레이션하며 심사 등을 진행하는 것. 화재 발생 시에도 발생장소를 3D로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확산을 예측해 대응한다.

서울 전역의 도시바람길 정보도 S-Map으로 도출하고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에 활용한다. 지형에 따른 바람의 경로, 세기와 방향, 지형지물의 영향 등을 3D공간에서 확인해 도시계획의 건물배치 등에 반영한다. 기상청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 바람길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산불확산방지, 미세먼지 및 열섬현상 저감에도 활용하게 된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S-Map을 통한 시민 서비스도 강화된다. 주요 관광명소를 서울시 홍보대사인 핑크퐁이 VR 영상과 함께 설명해주는 비대면 투어 서비스를 연내에 시작한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또 연내에 600종 문화재를 3D로 볼 수 있고, 1900년대 옛 지도 위 한양의 모습도 3D로 재현된다. S-Map이라는 타임머신을 타고 20세기 초 한양을 경험하게 되는 것. 민간포털이 제공하지 않는 전통시장, 좁은 골목길 등 1만4000여 건 거리뷰도 S-Map이 제공한다.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게 한다는 계획.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코로나 시대, 비대면 행정‧시민서비스가 확대되는 가운데, '디지털트윈 서울 S-Map'을 활용한 입체적‧통합적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발적 원인으로 인한 환경재해, 교통 등 대도시의 문제 해결역량을 강화하고 시민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S-Map은 서울시가 스마트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인 스마트서울플랫폼(6S)의 하나로, '버추얼서울(S-Map) 종합계획'('20.6.)에 따라 추진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8년 디지털 트윈 사업에 착수, 도시 분석·시뮬레이션이 가능한 현 3단계에 이르기까지 한국판 디지털 트윈을 주도해왔다. ’22년 이후엔 자율주행, 지진예측 등 도시제어가 가능한 단계까지 나아간다는 목표다. 

정부가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 중 하나로 디지털 트윈을 제시한 가운데, 서울시가 신기술 도입부터 관리체계에 이르기까지 국가표준으로서 선도적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시의 '디지털 트윈 서울 S-Map'의 활용방안은 ①다양한 분석모형을 통한 도시문제 해결 ②문화관광 비대면 서비스 확대 ③민간 활용 개방,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도시계획 의사결정 지원, 화재예측을 위한 실시간 소방모니터링, 도시바람길 구현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야별 분석모형을 개발했다. 앞으로도 분석 모델을 지속적으로 추가 개발할 계획.

바람길을 활용한 ‘도시기후 분석모델’을 개발한다. 우선 첫 단계로 독일기상청이 개발한 바람길 모델(KLam_21)에 서울의 지형정보를 대입하고, 실시간 연계한 서울의 바람길 정보를 도출했다. 현재는 정보의 검증 단계로, 구체적 활용 모델을 '23년까지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예컨대 서울의 지형에 따른 바람의 경로, 세기와 방향 등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해 도시계획, 산불확산방지, 미세먼지 및 열섬현상 저감 등 도시환경문제를 개선하는 모델이다.

둘째, S-Map의 디지털트윈 완성으로 기존의 입체영상과 기본정보 제공에서 나아가 다양한 3D콘텐츠의 체험과 분석, 시민참여가 가능하게 됐다. 서울시는 오는 9월부터는 시민들이 모바일 웹 환경에서 모든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S-Map과 3차원 공간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청, 서울관광재단 등과 협업을 통해 주요관광명소, 문화재 콘텐츠를 결합한 비대면 시민체감 서비스를 확대 할 예정이며, 특히 1900년 이전의 한양모습을 재현한 랜선여행 프로젝트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할 예정이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셋째,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S-Map 데이터를 활용해 스타트업 및 외부 전문가가 다양한 활용서비스를 개발하고, 홍보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쇼케이스) 환경을 구축한다. 연내에 실험공간(오픈랩)을 구축해 제공할 예정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현실세계의 다양한 정보를 연계하고 시뮬레이션과 공간분석이 가능한 S-Map 플랫폼이 완성되어 스마트  도시 구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S-Map관련 데이터를 민간에도 개방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산업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