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간 700억 투자, 수소 등 3대 분야 8대 선도 프로젝트 추진

정부가 데이터 축적과 인공지능(AI) 활용으로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미래 경쟁력 선점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데이터 표준화, AI 활용 소재 개발 등에 오는 2024년까지 700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5일 대전 화학연구원에서 성윤모 장관 주재로 소재분야 업계 토론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디지털 소재혁신 강화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2.0 전략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후속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우선 수소경제, 탄소중립, 미래 모빌리티 등 3대 분야에서 화학·금속·세라믹·섬유 소재 중심의 ‘8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고효율 그린수소 생산용 금속 촉매소재, 양방향 연료전지용 올세라믹 전극소재, 생분해성 고강도 섬유소재, 미래 모빌리티 내외장용 경량복합수지 등 프로젝트에 내년까지 각각 40억원 내외의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아울러 데이터 표준화를 위해 8대 선도 프로젝트별로 데이터 항목·구조·방식 등을 입력하는 표준입력 템플릿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실제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도메인 전문가와 소재 AI 전문가로 구성된 템플릿 표준화 위원회7월 출범할 계획이다.

데이터 축적과 활용을 위해서는 표준입력 템플릿에 따라 내년까지 10만건 이상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소재개발 AI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 4대 소재기관을 중심으로 소재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규모와 수준을 확대하고 데이터 통합 저장 및 처리기법 개발에 나선다.

특히 데이터 통합 관리를 위해 통합서버를 연말까지 새로 구축하고 템플릿을 활용해 중요 특성을 발굴하는 데이터 분석기법을 9월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소재개발 AI 예측모델 개발, 소재의 부품화 가능성 검증, 전문인력 양성 등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데이터 표준화·축적·활용이 선순환 구조로 이어져 데이터 기반이 확충되도록 각종 제도 확충에 나선다.

표준 템플릿을 국가 표준으로 제정하는 방안이 추진되며, 민간의 자발적 데이터 축적을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및 자금 지원(산업지능화 펀드)이 이뤄진다.

VPN 등 폐쇄망 활용, 무단 해외유출 방지 조항 마련, 전용 식별 시스템 구축 등 핵심 데이터 보호를 위한 관리시스템도 구축된다.

정부는 데이터 사업기획, 표준화, 확산 등 3개 분과별 전문기관이 참여하는 소재·부품·장비 정보협의회를 7월 중 신설하고 주기적으로 운영해 사업 추진과 실적을 점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