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302개사 설문조사’, 임금감축·감원 등 조치
75.8% “피해 입었다”… 세제지원·신산업 투자 촉구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난 1년간 피해를 본 기업이 10곳 중 8곳에 이르고, 이 가운데 4곳은 비상경영을 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업체 302개 사를 대상으로 코로나 사태 1, 산업계 영향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코로나 사태가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75.8%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생존까지 위협받았다고 응답한 기업도 8.3%에 달했다.

반면 사업에 다소 도움이 됐다는 응답은 14.6%, ‘좋은 기회였다는 기업은 1.3%에 불과했다.

또한 생존 위협이나 피해를 입은 기업 10곳 가운데 4곳은 비상 경영을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경영에 들어간 이유로는 매출 급감(79.0%)이 대부분이었고, 이로 인해 임금감축 등 경비절감(71.9%), 휴직·휴업(50.0%), 인력축소(42.1%), 투자보류(14.9%) 등의 조치를 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기 52.6% ‘코로나 후 변화대응

대한상의 관계자는 지난해 한국경제는 OECD국가 중 역성장 폭이 가장 적을 정도로 선방했지만 이는 코로나19위기 극복을 위한 특단의 부양조치가 작용했기 때문이라면서 변종 코로나 확산, ·중 갈등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고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여전히 많아 이에 대한 대비를 지속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신접종 이후 사업 활동 정상화시기에 대해서는 올해 3, 4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다만 업종별로 야외활동의 수요가 큰 정유 부문은 올해 2분기 말부터, 가전과 건설업은 각각 3분기 이후 빠른 회복세를 기대한 반면 코로나로 인한 피해가 극심한 항공·여행은 4분기, 공연·문화는 내년 이후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 사태로 촉진된 디지털화, 무인화 등의 변화는 코로나 종식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될 것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 코로나 종식 이후에도 이러한 변화들이 가속·확산하거나 코로나 때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전체의 72.8%에 달한 반면 코로나 이전으로 회귀할 것이라는 전망은 27.2%에 그쳤다. 코로나 이전 방식으로 회귀가 어려운 분야로는 영업·마케팅 활동(46.1%)를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근무형태(25.4%), 채용·교육(18.9%), 기획전략(12.3%), 자금조달·결제(11.4%) 등 순이었다.

코로나 이후 경영환경 변화 대응 여부에 대해서는 대응중이라는 응답이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경우 71.8%에 달했지만 중소기업은 52.6%에 그쳤다.

 

자금·세제 지원정책 가장 원해

대응기업이 추진하는 방안으로는 신사업 강화가 26.7%로 가장 많았고 변화 모니터링 확대(25.0%), 사업의 디지털 전환(19.4%), 친환경 경영 강화(13. 9%), 공급망 다변화(12.8%) 등 순이었다.

올해 기업경영 성과를 좌우할 중요변수로는 코로나 백신 보급·면역형성(36.4%)과 금리·환율 변동(22.2%), 기술패러다임 변화(16.9%) 등이 꼽혔다.

코로나 이후 대응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자금·세제 지원정책 지속(49.7%), 신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13.6%), ·제도 합리화 등을 들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올해는 위기극복 정책을 지속하면서 미래를 위한 성장기반도 확충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비대면·온라인 트렌드를 전통산업에 접목하고 친환경 확산과 GVC재편 등 시대적 조류에 따른 산업재편·신산업 육성을 위한 적극적 조치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