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값 상승⋅고금리 등 영향
세계 성장률은 2.9%로 0.2%P↑
신중한 통화정책 수립 급선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5일 ‘중간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밝힌 2.3%에 비해 0.1% 포인트 내려간 수치다.

반면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9%로 11월 예측치인 2.7%에 비해 0.2%포인트 올렸다. OECD는 “2023년 세계경제가 탄력적으로 회복했으나, 연말로 가며 전환국면이 약화된 가운데 주요국의 거시경제 정책 제약과 중국경제의 구조적 부담 등으로 올해 세계 경제는 완만히 둔화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양대 교역국인 중국의 성장률로는 기존 4.7%를 유지하고, 미국 성장률은 1.5%에서 2.1%로 0.6%포인트 높여 잡았다. OECD는 “미국은 견조한 소비, 실질임금 상승과 금리인하 등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을 이어갈 것” 이라며, “중국은 소비심리 제약과 높은 부채, 자산시장 약세 등으로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한국의 경제성장률 하향조정 관련 별다른 이유를 밝히지는 않았다. 다만 최근 중동의 정세 불안 등으로 아시아 등 지역에 에너지 공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중동 정세불안 확대 시 공급병목 심화와 에너지가격 상승으로 공급 측 물가 상방압력이 확대되고 경제활동 저해가 우려된다며, 전례없는 금리인상의 후행적 영향이 예상보다 길거나 크게 나타나 경기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1월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1월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아울러 OECD는 신중한 통화정책 스탠스와 재정여력 확보, 구조적 노력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기준금리를 내릴 여지가 있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을 억제하기 위해 당분간 통화 정책을 제약적으로 유지하는 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면서, “조세·지출 개혁을 통해 재정 여력을 확보하고 교육 개혁, 글로벌 공급망 복원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OECD의 전망은 앞서 한국 정부 예측과 일치한다. 기획재정부는 1월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IMF는 지난달 30일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하며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3%로 제시한바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OECD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은 우리정부 전망과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