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의 황금기를 만들겠다는 의지로 국정과제인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제조혁신을 강력히 추진하겠다.” 지난 18일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윤석열 정부의 중소제조업 디지털전환 청사진을 담은 ‘新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발표를 통해 정부·민간·지역 원팀으로 2027년까지 디지털 제조혁신 기업 2.5만개를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기업에 따라 역량이 우수하거나 일정 수준인 기업은 고도화를 집중 지원하고, 역량이 부족한 기업은 고도화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자체·민간이 주도해 지원한다.

또한 제조데이터가 제각각 활용되는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제조데이터 표준화 등 데이터 경제기반을 마련하고 민간·지역이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협력 네트워크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이번 대책은 그동안 뿌려주기식 지원과 같은 정부 주도 스마트공장 보급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업수요에 기반한 새로운 디지털 제조혁신 실천전략이 제시됐다는 점에서 무엇보다 고무적이다. 그러나 선언적 의미에만 그쳐서는 곤란하다. 현장에서 체감하는 실질적 성과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몇 가지 정책대안이 추가로 마련돼야 한다.

먼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ESG, 중대재해 처벌법 등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스마트공장 지원사업도 단순 생산성 향상을 넘어 에너지 효율,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등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업종별 전문 대기업의 참여도 늘려야 한다. 인적·물적으로 열악한 중소기업이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이 축적해온 제조혁신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도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세제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제조데이터 표준화를 위해 동일 업종으로 조직화된 업종별 협동조합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사 공정별로 공통솔루션을 개발하고 보급·확산하는데 업종별 협동조합이 구심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정부는 2020년부터 업종별 중소기업에 공통솔루션 구축을 지원하는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사업’을 진행해왔으나 작년 말 사업이 종료돼 중소기업계의 아쉬움이 컸다. 이번 대책을 통해 단위공정별 솔루션 한계를 극복하고 업종별 생산성이 극대화되길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로 ‘자생적 제조혁신 생태계’가 확산돼야 한다. 전북에서는 올해 3월부터 삼성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대표들이 ‘민간 멘토단’을 구성해 도내 기업에 혁신노하우를 공유·전수하고 있고, 지자체도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다양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

이같은 ‘자생적 제조혁신 생태계’가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그간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은 중소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표적인 정책으로 뚜렷한 성과를 거둬왔다. 단기간에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했고, 대기업 상생형 모델을 통해 중소기업에 혁신노하우를 전수하며 대·중기 상생협력의 상징적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다만, 정부 주도의 기존 정책은 기초단계 위주의 양적 확대와 현장 수요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었던 만큼, 이번 ‘新 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이 정부와 지역, 민간이 함께 열어갈 제조업 황금기 견인의 ‘연금술’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