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공청회를 통해 9500억 규모 예타 추진 계획 밝혀

사업 개념도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사업 개념도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가 동해가스전을 활용해 국내 최초로 상용화할 수 있는 규모의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 사업으로 2025년부터 30년간 총 1200만t(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목)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실증사업’ 공청회를 개최해 국내 최초의 상용 규모 이산화탄소 저장 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산·학·연 관계자 의견을 수렴했다고 밝혔다.

'CCS(Carbon Capture Storage)'는 발전 및 산업체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지중에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업 비전 및 목표
사업 비전 및 목표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동해 CCS 실증사업은 울산지역 산업단지 수소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동해가스전 고갈 저류층에 저장하는 CCS 전주기(포집·수송·저장) 연계 통합실증 사업이다. 

이 사업은 그간의 R&D로 확보한 소규모 실증 기술을 중규모로 격상하고, 최적 수송․주입 등 각 분야별 핵심 상용 기술을 확보해 대규모 상용화를 위한 기술 자립화 기반을 마련해 ‘25년부터 연간 4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해 향후 30년간 총 1200만톤 규모의 온실가스 감축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CCS 분야별 주요 기술 개발 목표
CCS 분야별 주요 기술 개발 목표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동해가스전 활용 CCS 통합실증 사업은 국내 최초 상용 규모 CCS R&D 사업인 동시에 국내 최초 블루수소 생산 사업으로 안전성과 경제성이 매우 우수한 실증 사업이다. 

우리의 독자 기술로 실증규모의 플랜트를 운영·관리함으로써 CCS 전분야 기술 자립화와 선진국 수준의 기술 역량 확보가 가능하고, 동해가스전이 육상에서 60km 먼바다에 위치하고 있고, 누출 경로가 없는 것이 이미 확인된 고갈 가스전 저류층을 활용하는 것이므로 안전성이 확인된 저장소라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또한, 기존 자원개발 생산시설, 해상 플랫폼, 해저 수송배관 등을 활용해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동해가스전 인근에 대규모 유망저장소가 존재해 사업 확장을 통한 규모의 경제도 실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산업부는 상용규모 기술 실증을 통한 CCS 조기 상용화와 2030년 온실가스감축 목표 실현을 위해 1년여의 기획과정을 거쳐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실증 사업’ 공청회를 개최했다.

국내에서는 세계에서 3번째로 소규모 해상 지중저장 주입 실증에 성공한 이후, 상용규모 저장 실증을 위해 정부는 작년 8월 50여명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기획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업 기획에 착수했다.

이번 공청회는 사업 기획 경과, 주요 내용 및 향후 계획을 공유하고, 관련 기업․연구기관 등 광범위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마련한 것이다.

공청회에서 총괄 기획위원장인 권이균 교수(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 실증 사업 주요 내용을 설명했다.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전환정책관은 환영사를 통해 “동해 CCS 실증 사업 추진을 위해 금년 12월 중 95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고, 시설구축을 거쳐 2025년경부터 이산화탄소 저장을 본격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이어 “동사업을 시작으로 안전성과 환경성을 바탕으로 저장용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 탄소중립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CCS 기술을 탄소중립 新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것임”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