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물살 타는 나노사회, 희소 아이템이 경쟁력
‘X세대 형·언니들의 귀환’ 소비시장 쥐락펴락

2007년부터 소비 트렌드를 발빠르게 분석해온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가 지난달 신간인 `‘트렌드코리아 2022`’를 발간했다. 지난 6일 열린 출판 기념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김난도 교수는 “2022년 트렌드 키워드의 중심은 나노 사회라면서 이는 극도로 세분되고 파편화된 사회를 뜻하며 다른 트렌드의 근원이 될 것이다.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한편,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난도 교수는 2022년 호랑이의 해를 맞아 10대 트렌드의 앞글자를 따 `‘TIGER OR CAT’(호랑이 또는 고양이)이라는 단어를 제시했다. 매년 이듬해의 띠(12간지)를 활용하는 게 이 책만의 고유 특징이다. 참고로 소의 해인 올해는 카우보이 히어로(COWBOY HERO)`를 키워드로 제시했다그는 앞으로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위기 상황에 얼마나 잘 대처하느냐, 기업보다 진화 속도가 더 빠른 소비자들의 니즈를 어떻게 맞출 것인가에 따라 거침없이 포효하는 호랑이가 될지, 고양이가 될지 갈림길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나노 사회`와 함께 김 교수가 제안한 내년 10대 트렌드는 투자와 투잡에 혈안이 되는 머니러시상품 과잉 시대에 희소한 상품을 얻을 수 있는 득템력도시에 살면서도 소박한 촌스러움을 추구하는 러스틱 라이프고통을 감수하는 대신 즐겁게 건강을 지키는 헬시플레저X 세대(1965~80년생)를 시장을 떠받치는 기둥으로 바라본 엑스틴 이즈 백자기 관리에 철저한 신인류를 뜻하는 바른생활 루틴이실제와 가상의 경계가 사라지는 실재감 테크소셜미디어(SNS) 발달에 따른 상시 쇼핑 시대를 알리는 라이크커머스자기만의 서사가 필요하다는 내러티브(서사) 자본이다.

 

나노사회와 머니러시, 득템력

우리의 일상은 극도로 세분화되고 파편화된 `나노사회`라 볼수 있다. 가족과 공동체가 파편화된 세상에서 오롯이 스스로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들은 저마다 돈을 좇고(머니러시) 부를 과시하는 `득템`에 올인한다. 값비싼 명품 브랜드보다는 갖기 어려운 희소템을 얻는자가 `승자`. 경제적 지불 능력만으로 얻기 어려운 희소 상품을 차지할 수 있는 소비자의 능력이 바로 `‘득템력’`이다. 이미 인기가 높은 한정판 운동화(스니커즈)를 정가보다 비싸게 되파는 스니커테크는 10~20대 소비자에게 재테크 수단으로 떠올랐다. 운동화 리셀(재판매) 시장은 2030년까지 300억달러(355050억원) 규모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러스틱 라이프와 바른생활 루틴이

현대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다 각자 다른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다. 누구는 러스틱 라이프(시골의 소박한 삶)를 즐기며 시골스러움에서 위안을 얻는다. 촌스럽다고 생각한 옛것들도 ``(새로운 것을 지향하고 개성이 강한 것을 의미)해지고 있다.

전통 민요 `뱃노래`를 힙합 버전으로 편곡한 노래를 배경으로 갯벌 주민의 일상을 보여준 영상인 필 더 리듬 오브 코리아- 서산`은 공개한 지 1개월 만에 조회수 3454만회를 기록했다. 어떤 이는 코로나19로 재택이지만 출근 시간에 맞춰 알람을 설정한다. 회사에 가지 않 지만 상관없다. 루틴(매일 수행하는 습관이나 절차)을 유지하는 게 좋기 때문이다. 루틴을 통해 자기 관리에 철저한 신인류를 `바른생활 루틴이(루틴+어린이)`라 부른다. 이렇듯, 우리는 어떠한 생활 방식이어도 그 속에서 소소한 자신감과 미세 행복을 찾는다.

 

엑스틴 이즈 백

한동안 잊혀 있던 X세대 형, 언니들이 이제 화려하게 복귀한다. 소비의 양적 규모나 질적 파급력으로 볼 때 소비 시장에서 주요 세대는 1965~1979년생인 `X세대`. 그중에서도 핵심은 1970년대 엑스틴(X-teen)이다. 엑스틴은 사회의 허리이자 시장을 주도하는 세력으로 대한민국 소비 시장을 이끌고 갈 것이다.

 

라이크커머스와 실재감 테크

잠들기 전 침대에 누워서 휴대전화로 친구의 인스타그램을 본다. 친구가 올린 밀키트와 화장품이 좋아 보여 그냥 구매한다. 따로 쇼핑몰에 들어가는 건 귀찮다. 이런 소비는 `좋아요(Like)`에서 출발한다는 의미로 `‘라이크커머스`’라고 부른다. SNS의 인플루언서나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다시, 잠들기 전 `로지(가상인간)`의 인스타에 들어가 그녀의 일상을 체크하고 좋아요를 누른다. 그녀가 실존 인물이 아니라는 것도 알지만 상관없다. 왜냐? “우리는 세계관이 같으니까.” 코로나19로 비대면이 일상이 되면서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실재감테크`가 핵심 기술로 부상했다. 앞으로 소비자를 붙잡을 수 있는 기술의 핵심은 누가 더 실재감 있게 만드냐에 있다.

 

헬시플래저

친구가 건강을 챙겨야 한다면서 `홍삼`을 권한다. 이참에 몸에 좋다는 산양삼과 무화과도 챙겨 먹어야겠다. 유튜브를 틀어 좋아하는 운동 유튜버의 영상을 보며 같이 운동한다. 집에서 간단한 도구를 가지고 운동했을 뿐이지만 땀이 흘러 기분이 개운하다.

건강은 관심·취미 분야의 `스테디셀러`였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건강과 면역은 최우선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히 젊은 층이 건강과 다이어트에 관심을 두면서 건강관리 방식도 변했다. 힘들고 어렵고 고통을 감수하는 것이 아니라 이왕 해야 할 일이라면 즐겁게 해보자는 헬시플래저가 확산하고 있다.

 

내러티브 자본

내러티브를 가진 사람과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는 트렌드는 더욱더 강화할 것이다. 스토리텔링(이야기)이 중요한데 내러티브는 스토리텔링이 이어진 훨씬 큰 개념이다. 특히 대선과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있는 2022년은 이러한 `내러티브 대전(大戰)`이 될 것이다.

강력한 서사(내러티브)를 갖추는 순간 회사의 매출도 주식도 오를 것이다. 실제로 미국 전기차 회사 테슬라 사례도 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원대한 꿈을 주가수익비율(PER)에 빗댄 ‘PDR(Price Dream Ratio)’이라는 신조어도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