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중산층 비중 동반하락
4차 대유행 탓 상황 심화 우려
근로자 가구 중산층은 2.7%P↑

코로나19 사태 이후 자영업자 가구의 고소득층과 중산층 비중은 모두 줄고 저소득층만 늘어나 소득계층의 하향 이동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 데이터 분기별 자료(비농림어가, 1인 이상 가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자영업자 가구의 소득계층별 비중이 코로나19 이전인 20192분기에는 중위소득의 200%를 초과하는 고소득층이 13.1%, 중위소득의 75200%에 해당하는 중산층이 61.0%, 중위소득의 75% 미만인 저소득층이 25.9%로 구성됐다.

반면, 올해 2분기에는 고소득층 11.8%, 중산층 59.8%, 저소득층 28.4%로 집계됐다.

◈ 자영업·근로자 저소득층 격차 확대

코로나19 이후 고소득층과 중산층 비중은 각각 1.3%포인트, 1.2%포인트 감소한 반면 저소득층 비중은 2.5%포인트 증가했다가구 수 기준으로는 고소득층과 중산층이 각각 47588가구, 74091가구 감소했으나 저소득층은 64577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7월 이후 나타난 4차 대유행의 영향을 고려하면 자영업자의 상황은 더욱 악화했을 것으로 보인다.

자영업자와 달리 근로자 가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비중이 줄고 중산층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자 가구의 경우 20192분기에는 소득계층별로 고소득층 11.4%, 중산층 67.7%, 저소득층 20.9%로 구성됐으나 올해 2분기에는 고소득층 9.8%, 중산층 70.4%, 저소득층 19.9%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근로자 가구의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비중이 각각 1.6%포인트, 1.0%포인트 감소한 반면, 중산층 비중은 2.7%포인트 증가했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이 176220가구, 79999가구 감소한 반면 중산층은 447526가구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2분기에는 자영업자(25.9%)와 근로자(20.9%) 가구의 저소득층 비중 격차가 5.0%포인트 수준이었으나 올해 2분기에는 8.5%포인트(자영업자 28.4%, 근로자 19.9%)로 더 확대됐다.

◈ 업종별 맞춤형 지원책 필요

한국 전체 가구수를 기준으로는 20192분기에는 고소득층 9.9%, 중산층 57.6%, 저소득층 32.5%, 올해 2분기에는 고소득층 8.5%, 중산층 59.0%, 저소득층 32.5%로 각각 집계돼 고소득층 가구가 1.4%포인트 감소한 반면 중산층 가구는 1.4%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가구 비중의 변화는 없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분석 결과 코로나19 피해는 근로자 가구보다 자영업자 가구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보편적 지원 대신 코로나19 방역 조치 등으로 불가피하게 피해를 본 자영업자에게 세금 감면, 자금 지원 등의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업종·지역별 실제 피해액에 비례한 맞춤형 지원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자영업 가구는 본업인 자영업으로 벌어들이는 돈보다 알바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동연구원이 지난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구주가 자영업자인 가구의 경상소득은 20124985만원에서 작년 6519만원으로 30% 많아졌다.

소득의 출처별로 보면 자영업자 가구의 사업소득은 2012년과 2020년 사이 3927만원에서 4173만원으로 6.3% 늘었는데, 노동소득은 659만원에서 1346만원으로 104.3%나 늘었다.

민주노동연구원은 자영업 환경이 악화하면서 가구원들이 노동시장에 뛰어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가구주가 상용노동자인 가구의 경상소득은 20104900만원에서 20207958만원으로 62.4% 증가했고 임시일용직 가구는 2297만원에서 3704만원으로 61.1% 늘어나 둘 사이 경상소득 차는 2602만원에서 4254만원으로 커졌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