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기업·소상공인은 생산의 주체이자 소비의 주체로 국민경제의 근간이다. 그러나 한국경제는 대기업 위주의 산업정책으로 단기간에 경제성장을 이뤄냈지만 소기업·소상공인들은 상대적으로 정부 지원정책에서 소외받아 왔다. 특히, 최근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보듯이 소기업·소상공인의 폐업이나 노령화는 결국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돼 정부의 새로운 부담으로 작용한다.

소기업·소상공인들의 생계위협으로부터 생활안정과 사업재기를 돕기 위해 중소기업중앙회가 운영하는 노란우산공제가 출범 14년 만에 재적가입 150만명을 넘어 소기업·소상공인의 대표적 사회안전망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노란우산공제 도입과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990년부터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국회 및 정부 등에 지속적으로 건의한지 17년만인 2006년에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20079월 노란우산을 출범할 수 있었다.

소기업·소상공인의 사회안전망이라는 명분을 갖고 야심차게 출범했지만 초기 운영자금 부족으로 기업은행으로부터 어렵게 45억원을 지원받아 전산개발 등 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했으며, 당시 유사한 상품이 출시되려 하자 공익적 성격의 노란우산이 뿌리를 내리기도 전에 고사할 위험이 있다는 점을 국회를 끊임없이 설득해 사업 초기 안정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

출범 당시 홍보예산이 없어 유명 연예인의 재능기부로 홍보를 시작했고 중기중앙회 전 임직원이 거리로 나가 리플렛을 직접 나눠주며 가입캠페인을 펼쳤다. 가입대행에 나서길 주저하는 시중은행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설득한 끝에 2011년 하나은행과의 가입업무대행을 시작으로 현재 15개 금융기관으로 확대해 가입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사업의 조기 정착을 위해 당시 중기중앙회를 이끌던 김기문 회장을 중심으로 임직원 모두 힘을 합친 결과로 오늘날 재적가입 150만명 돌파를 이뤄냈다.

노란우산공제는 최대 연 500만원까지 소득공제 확대, 압류금지, 단체상해보험 지원, 지자체 가입장려금 지원에 더해 무이자 의료 및 재해대출, 경영·심리 무료상담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고객서비스 확대를 통한 경쟁력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고객부금 16조원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공제운영위원회와 자산운영위원회의 전문적 자문을 통한 운영성과 공시로 경영의 투명성 제고에도 힘을 쏟고 있다.

증기중앙회는 앞으로 다양한 고객 수요에 맞는 예탁형·적금형 공제상품, 부금초과신용대출 등 상품을 다양화하고, 고객권익보호위원회 구성, 고객과 소통강화를 위한 지역별 복지센터 설치·운영, 휴양시설 회원권 확대, 문화예술 지원 등 고객의 목소리에 더욱 더 귀 기울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그 동안의 성공노하우를 동남아 등 다른 국가로 확산해 노란우산공제의 글로벌화에 앞장설 예정이며, 소기업·소상공인 대표뿐 아니라 소속 근로자도 노란우산 아래에서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654만 모든 소기업·소상공인과 소속 근로자들의 든든한 버팀목이 될 그날을 향해 다시 한 번 신발 끈을 동여매고 제2의 도약을 준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