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는 중소기업 생존 핵심화두… 이달 중 ‘中企ESG위원회’ 구성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국내외 대기업·금융권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ESG경영체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ESG 전담팀을 신설한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로 기업의 재무적 성과만을 판단하던 전통적 방식과 달리 ESG의 비재무적 성과를 중시하는 경영체계를 말한다.

이번 전담팀 신설은 현재 ESG 기반의 급속한 경영환경 변화가 중소기업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향후 생존 문제가 될 것으로 판단한 중기중앙회가 중소기업계의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첫걸음을 내디딘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 중소기업 ESG 대응 왜 필요한가

중소기업의 ESG 대응은 파리기후협약 등 저탄소체제가 강화되고 주요 자산운용사의 ESG 투자 확대선언, 국내 대기업의 ESG 경영 도입 등의 여파가 중소기업에게 미치면서 대응이 부족한 중소기업 위주로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들어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협력 중소기업들이 ESG 요구수준 미달을 사유로 계약 해지되는 등 실제 피해사례가 발생했다.

한국생산성본부가 ESG 평가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을 상대로 조사한 자료에서도 중소기업의 47%가 대응 미흡으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경련이 올해 2월 중소기업의 대응수준(4)을 조사한 결과 선진국(10대기업(7)대비 대응 및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책 금융 등 급속한 경영환경 변화와 납품처의 ESG 요구확대도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ESG의 급속한 전파에 따라 국내외 ESG 지표가 600여개 이상 난립, 평가기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등 중소기업계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 중기중앙회 대응방향은

중기중앙회는 ESG전담팀 신설을 계기로 중소기업의 ESG 역량강화와 ESG를 기반으로한 대기업 및 공기업과의 상생협력 활성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7월 중 대기업 협력사·수출기업 등 관련 중소기업·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중소기업ESG위원회를 구성해 중소기업 애로 청취 및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정부·국회를 통해 건의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최근 정부에서 개발하고 있는 ESG평가지표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의 밑거름이 되고, 중소기업에게는 표준화·최소화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건의하는 한편, 중소기업의 ESG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설명회 실시 등 중소기업의 ESG 준비 필요성을 전파할 계획이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ESG는 이미 생존의 문제로 다가와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자발적·적극적 체질개선이 필요하다“ESG 경영 흐름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ESG: ESG는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영어 앞 글자를 딴 표현으로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로 꼽히는 이 3가지를 중시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기준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업과 투자자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해지면서 영국(2000)을 시작으로 독일, 캐나다,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연기금을 중심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 제도를 도입했다. UN2006년 출범한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을 통해 ESG 이슈를 고려한 사회책임투자를 장려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오는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ESG 공시 의무화가 도입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