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문제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29)의 확장 실업률은 24.3%를 기록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의 24.2%보다 높은 수준이다. 일하고자 하는 청년 4명 중 1명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취업 준비자도 89만명으로 역대최고치다. 취업준비조차 하지 않고 그냥 쉬는 20대는 367000명에 달한다. 최근 글로벌 경기회복과 함께 전체 고용시장이 회복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 청년들이 공정한 사회를 외치며, 적극 행동에 나서고 있는 것도 일자리 문제와 무관치 않다.

자동차 3사 노조가 정년연장 법제화를 요구하는 국민청원에 나서자 MZ세대는 젊은 청년들의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며 반대청원에 나섰다. 분노하는 청년민심이 우리 사회를 뒤흔들자 청와대도 25세의 대학생을 청년비서관으로 발탁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청년실업 문제가 비록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최근의 상황을 보면 코로나19나 경기불황 탓만은 아니다. 산업현장의 인력실태를 뜯어보면 청년들은 일할 곳을 찾기 어렵다고 하지만 정작 중소기업은 필요한 인재를 구하기가 정말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이러한 일자리 미스매치는 청년 실업난의 핵심원인이다. 근로조건 불만족으로 인한 보상의 미스매치’, 직무능력의 불일치로 인한 업무의 미스매치’, 채용정보의 불균형으로 인한 정보의 미스매치가 바로 그것이다.

청년일자리 문제의 일차적인 해법은 구직자와 중소기업 간 미스매치 완화에서 찾아야 한다. 먼저, 일자리의 83%를 책임지고 있는 중소기업이 활력을 회복해야 일자리도 살아날 수 있다. 하지만 급격한 최저임금 상승과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주52시간제 강행, 중대재해처벌법 입법 등이 기업인들의 사기와 대외경쟁력을 떨어뜨리게 만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기업인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 신규투자와 고용창출을 늘리라고 하면 실현 될 수도 없고, 무리한 요구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좋은 인재들이 중소기업을 찾아갈 수 있도록 자구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에 비해 중소기업의 임금·복지수준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회사의 성과를 공유해 직원과 함께 발전하고, ‘워라밸을 보장하는 것,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배양하는 것은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이 대기업 보다 더 쉽게 이뤄나갈 수 있다.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개별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탈바꿈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중소기업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이 전환될 수 있도록, 청년들이 일하고 싶어할 만한 기업들을 찾고, 널리 알려야 한다. 중소기업에서 청년들이 다양한 업무를 경험하고, 자신이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 주는 것이다.

청년의 내일(my job)이 우리의 미래인 대한민국의 내일(來日)이다. 기업의 고용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중소기업의 우수한 일자리 창출 노력으로 모두의 밝은 내일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이에 화답하여 청년들도 열린 마음으로 자신의 능력과 꿈을 펼칠 일자리를 찾게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