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수입 가격이 10% 오르면 국내 생산자가격은 0.43%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지난달 30일 '국제원자재 가격의 변동요인 및 우리 수출에의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국제 원자재의 가격 변동은 원자재를 중간재로 투입하는 모든 상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이 국내 물가 등 우리 경제와 상관성이 높은 만큼 정부와 기업이 원자재 수급 안정화 등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의 투입산출표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원자재 수입 가격이 10% 상승하면 2018년 기준 국산품의 생산자가격은 0.43%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금융위기 직후(2010년 기준 0.62% 상승)보다는 0.19%포인트 축소됐다.

수입 원자재 투입 비중이 높은 산업일수록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 파급효과가 컸다.

2018년 기준 수입의존도가 55.7%인 비철금속의 경우 원자재 수입 가격이 10% 상승할 때 국산품 가격은 2.87% 상승했다. 수입의존도 34.9%의 철강은 1.77% 올랐고, 수입의존도 31.4%의 석유화학은 1.48% 상승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기업의 생산비용 증가, 수출단가 상승, 수출물량 감소로 이어졌다. 원자재 가격이 10% 오르면 수출단가는 0.7% 오르고, 수출물량은 0.25%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수출금액은 단가 상승 영향으로 0.45% 증가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의 주요 공통요인은 글로벌 경기와 위험자산선호로 분석됐다. 글로벌 경기가 원자재 전체 가격변동의 86.8%, 위험자산선호가 22.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지속된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가 국내 물가 및 수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수출 중소기업의 경우 원자재 확보와 가격상승으로 인한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 차원에서는 원가절감,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등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정부 차원에서는 차질 없는 원자재 수급 안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