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나눔 칼럼] 최영균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활동방향 어긋나면 이미지 훼손
고객 관련성 등 높여야 효과적
지자체 등과 공동캠페인 바람직
어려운 때일수록 지속관심 필요

최영균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최영균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기업의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는 가운데서도,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확신을 갖지 못한 채 이를 비용적 측면으로 인식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의 CSR 활동은 전문성과 재원부족으로 인해 기업 이미지 제고차원의 단발성 기부 및 자선활동에 그치고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기업환경과 규모, 재원 등의 차이가 있고 대부분 CSR 전담부서가 없으며 홍보할 브랜드도 명확히 확립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순히 대기업의 CSR을 답습한다면 소기의 성과를 이루기 어렵다. 중소기업의 특성에 특화된 현실적인 CSR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CSR 활동은 크게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 등 4가지로 분류된다. , 기업이 재화를 생산하고 판매해 이익을 창출하는 경제적 책임, 기업이 법적 사항을 준수할 법적 책임,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지켜야할 바람직한 행동을 뜻하는 윤리적 책임, 그리고 기부활동 등 사회에 바람직한 노력을 뜻하는 자선적 활동 등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CSR활동을 비교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위 4가지 활동이 모두 기업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법적, 윤리적 책임이 대기업의 이미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에 요구되는 책임수준이 더 높게 인식됐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중소기업의 CSR 활동은 기업이미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제품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보고서에 나오는 CSR 활동현황을 보면 대기업은 주로 의료보건, 교육, 취약계층지원, 문화예술 활동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고 중소기업은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지원 및 현금기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CSR의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전문성 및 재원에 부족으로 중소기업의 CSR 활동이 제한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중소기업의 CSR 활동을 어떻게 전개해 나가야 하는가?

기존연구에 따르면 그 활동이 기업 이미지나 특성 등 해당 기업에 대한 사전정보나 기대에 일치해야 기업의 명성, 구매의도 등에 효과가 발생하고 불일치하다고 인식되면 고객은 기업의 CSR 활동에 부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

이처럼 지각된 일치성은 소비자들이 기업과 자신을 동일시하면서 기업에 대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관련성, 투명성, 진정성을 높여주는데 이때 CSR 활동에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먼저 재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업이나 행정기관과 연계한 공익적 활동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적합도가 맞는 기업들 간에 공동마케팅을 하듯이 경쟁관계가 아닌 유관 기업이나 단체와의 콜라보를 적극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생수업체나 의류업체, 또는 화학업체 간의 공병 모으기나 의류 재활용 캠페인, 건설업체가 지자체와 연계해 쓰레기 분리수거 및 재활용을 위한 환경 캠페인, 요식업체와 배달업체, 지자체가 연계한 사회적 약자 후원 캠페인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CSR 활동은 그 활동자체 뿐 아니라 캠페인 후 이를 어떻게 알리느냐가 중요한데 뉴스보도 유형별 효과차이를 분석한 한 연구에서는 대기업보다 상대적인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에서 뉴스보도에 따른 기업이미지 상승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보도 방식은 비주얼보다는 텍스트 위주로 보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고, 비주얼의 경우 CEO 보다는 직원들을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SR의 공익적 가치와 실질적 가치를 생각한다면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소기업의 더 높은 관심이 필요하고 이를 진정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실행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체계적, 정책적 지원도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