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탕이 겉모습을 넘어서면 거칠어지고, 겉모습이 바탕을 넘어서면 형식적이 된다. 겉모습과 바탕이 잘 어울린 다음에야 군자답다.” <논어> ‘옹야에 실려 있다. 공자가 했던 말로, 학문과 수양을 통해 내면을 잘 갖추었다면 그것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겉으로도 잘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원문에서 질()은 학문과 수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내면의 충실함을 말한다. 즉 사람됨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은 겉모습인데, 내면의 충실함을 겉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대인관계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예의라고 할 수 있다. 학문과 수양은 깊은 데 그것이 겉으로 잘 표현되지 못한다면 거칠고 야만적으로 보일 수 있다. 내면은 잘 갖춰져 있지 않은데 겉만 번드르르한 사람은 가식적이고, 심하면 위선적이 된다. 탄탄한 내면과 당당한 겉모습이 함께 어우러져야 진정한 군자가 될 수 있다.

<옹야>에서는 이 말 외에 별다른 설명을 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안연>에서는 이 말에 대해 공자의 제자 자공이 설명해주는 고사가 나온다. 위나라의 대부 극자성(棘子成)과 대화하는 장면에서 나오는데, 과연 탁월한 언변의 소유자답게 알기 쉽게 핵심을 찔러 설명해준다.

극자성이 자공에게 물었다. “군자는 본래의 바탕만 갖추고 있으면 되지, 겉모습은 꾸며서 무엇하겠습니까?” 그러자 자공이 대답했다. “안타깝구려, 선생이 그렇게 말하는 것을 보니 네 마리 말이 끄는 마차도 선생의 혀를 따르지는 못할 것입니다. 겉모습도 바탕만큼 중요하고, 바탕도 겉모습만큼 중요합니다. 호랑이와 표범의 털 없는 가죽은 개와 양의 털 없는 가죽과 같습니다.”

자공은 바탕과 겉모습이 모두 중요하다는 것을 동물들의 가죽과 털에 비유하고 있다. 여기서 호랑이와 표범은 맹수다. 당연히 그 가죽도 소중하게 여겨진다. 하지만 만약 그 가죽에 털이 없다면 그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흔한 개와 양의 가죽과도 구별하기 어렵다. 사람의 됨됨이도 마찬가지다. 사람이 탁월한 학식과 인격을 갖추고 있다면 겉으로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을 감추거나, 드러낼 줄 모른다면 평범한 사람들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다.

이라는 관점에서도 이 성어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고사에서 자공은 탁월한 말솜씨를 구사하며 위 성어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몸소 보여준다. 적절한 비유와 알기 쉬운 표현으로 상대가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에서의 겉모습이다. 물론 내면의 충실함이 더 중요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것을 겉으로 잘 표현하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내면의 실력과 함께 말의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절실한 이유다.

 

- 조윤제천년의 내공저자

- 일러스트레이션 최진영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