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1조원을 투자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세계 1위를 달성하고 팹리스(반도체 설계)시장 점유율을 현재 1.6%에서 10%로 끌어올려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2만7000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지난달 30일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선 5대 전략분야인 자동차, 바이오, 에너지, 사물인터넷(IoT) 가전, 기계·로봇 등을 중심으로 시스템반도체 수요가 많거나 국내 기업이 빠른 시간 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분야에서 ‘얼라이언스 2.0’이라는 협력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정부, 반도체·수요 공급기업, 연구기관 등 25개 기관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얼라이언스 2.0’을 발족하고 여기에서 발굴된 유망기술은 연간 300억원의 정부 R&D에 우선 반영할 예정이다.

 

1000억 규모 팹리스 전용펀드 조성

새롭게 1000억원 규모의 팹리스 전용펀드도 조성된다. 특히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향후 10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해 자동차·바이오·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제조업 미래를 견인할 분야의 핵심 원천·응용기술을 개발하고 해외기술 유출을 방지할 방침이다.

1조원의 지원자금은 산업부 5200억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800억원 등으로 조성된다. 최근 5년간 R&D 예비타당성사업 중 1조원 규모를 넘은 경우는 이번 사업이 처음이다.

이같은 자금지원과 함께 2030년까지 시장과 기업이 필요로 하는 고급·전문인력 1만7000명의 양성에도 나선다.

2021년 연세대·고려대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해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한편 이들 학생에게 등록금을 지원하고 졸업 후 채용우대 등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학사 3400명을 배출할 계획이다. 또 기업 수요에 기반한 R&D 사업을 통해 석·박사 인력 4700명을 공급한다.

폴리텍대학을 반도체 특화형으로 전환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전국 9곳에 있는 반도체 설계교육센터 지원을 확대해 8700명이 실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중소 팹리스기업 해외시장 진출 지원

약 200개의 팹리스 중소기업들이 에너지, 안전, 국방, 교통인프라 등 공공시장에 진출해 실적을 쌓고 수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도록 돕는다.

5G와 시스템반도체를 연계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비·디바이스, 무인이동체(드론) 등 5G 산업별로 팹리스와 연계시스템을 구축하고 공동 R&D를 지원한다.

반도체 설계 필수 프로그램인 설계 자동화 소프트웨어(SW)에 대해 국내 팹리스가 공동 이용 가능한 시스템을 마련하고, ‘시스템반도체설계지원센터’를 확대·개편하는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기간에 세계 1위 파운드리로 성장하기 위해 삼성전자 같은 대표기업은 5G·AI·바이오 등 첨단분야를, 중견기업은 전력반도체·아날로그 반도체 등 틈새시장을 동시에 공략하고 정부는 기업의 투자를 뒷받침하는 공조전략을 수립했다.

아울러 상생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고 그 가교역할을 하는 디자인하우스에 설계 최적화 서비스인프라를 지원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