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5년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역량을 쌓은 신규 인재와 기존 직무에서 전환된 인재 9만5000여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졸업예정자와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빅데이터 분야의 실무 교육을 실시하고 AI대학원을 6개로 늘리는 등 기업 현장에 필요한 신규 인력을 육성하기로 했다.

‘혁신 플랫폼’ 구축해 선제적 대응
정부는 지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4차 산업혁명 대응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ICT) 인재성장 지원계획’을 논의했다.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는 지난 2007년 폐지됐다가 11년 만에 복원됐다.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여러 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큰 그림을 그리는 ‘혁신의 플랫폼’을 구축,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목표에서다. 

이날 상정된 안건은 전 세계적으로 AI, 데이터 분석 등 신기술을 잘 이해하고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가 점점 강조되고 있는 반면 국내 현실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마련됐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매킨지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 근로자 15~30%가 자동화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으며 3억7500만명이 직업을 전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력 수요도 단순 업무보다는 소프트웨어 역량과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인재로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청년·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신규인재 집중육성 △이공계, 여성·고경력자, 해외인재 등 기존 인재 대상 직무역량 강화 △이공계 대학 연구·교육 혁신 △범부처 인재성장 지원체계 구축 등을 중점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융합인재 육성 아카데미 운영
먼저 기업에서 부족한 인재 확보를 위해 2022년까지 졸업예정자 및 취업준비생 1만4000명을 대상으로 AI,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의 실무 교육과정을 신설 운영키로 했다.

2022년까지 실습프로젝트 중심 소프트웨어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신설하고 글로벌 AI 우수인재 확보를 위해 AI대학원을 내년에는 3곳, 2022년에는 6곳을 지원해 산업계 리더와 글로벌 연구자 5000명을 육성하기로 했다.

재직자와 실업자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분야 전환 및 취업 교육도 강화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이나 스마트팜 같은 혁신선도사업 분야에서 필요한 인재를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한 부처별 계획도 공개됐다. 중소기업벤처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운영인력 5만명을,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 분야에선 1만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계획을 내놨다.

대학원생과 여성, 고경력 과학기술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해외 인재를 유치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대학의 소프트웨어 융합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을 현재 25곳에서 내년에 35곳으로 넓히고 미래형자동차와 드론, 스마트공장을 연구하는 대학원을 지원키로 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장비 시설을 활용한 취업연계형 직무 훈련, 중소·중견기업 채용을 약정한 연수를 통해 미취업자의 취업을 돕는 방안도 추진된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운영방향 △국가R&D 혁신방안 시행계획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 등의 안건들도 논의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