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이 통근용으로 쓸 수 있는 드론(무인비행기), 물속에서 잠수정으로 변신하는 다목적 무인기, 서로 분리·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 등이 2030년까지 개발된다.
정부는 이런 미래형 무인이동체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반기술을 개발하거나 지원해 2030년까지 우리나라의 무인이동체 분야 기술경쟁력을 세계 3위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시장점유율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7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5대 용도별 플랫폼’ 개발 박차
드론이나 자율주행차 등 무인이동체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로 꼽힌다. 기계가 홀로 다니면서 스스로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해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센서·통신·소재 기술 등이 함께 쓰인다.
무인이동체 분야 세계 시장 규모는 2013년 150억달러, 2016년 326억달러, 2030년 2742억달러 등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육·해·공 무인이동체가 공통으로 갖춰야 할 △탐지·인식 △통신 △자율지능 △동력원·이동 △인간·이동체 인터페이스 △시스템 통합 등을 ‘6대 공통핵심기능기술’로 정했다.
이를 통해 무인이동체 성능 고도화에 필요한 공통핵심기술을 공급하고 유사·중복 개발을 방지하는 등 연구개발(R&D)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 이런 공통핵심기술과 무인이동체의 용도에 따른 특화기술을 결합해, 앞으로 무인이동체 시장에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5대 용도별 플랫폼’을 개발키로 했다.
△심해저·험지·고고도 등에 쓰일 ‘극한환경형’△개인 수요와 편의에 최적화된 ‘근린생활형’△로봇기술을 결합해 작업효율을 극대화한 ‘전문작업형’△다수·다종 무인이동체간 통합운용이 가능한 ‘자율협력형’△여러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융·복합형’ 플랫폼이 각각 만들어진다.
‘극한환경형’으로는 장기운용 수중 무인이동체(개발목표연도 2027년), 지하공간 탐색 육상 무인이동체(2027년), 생체모방형 무인항공기(2029년)가, ‘근린생활형’으로는 배송용 드로이드(2023년), 통근용 개인드론(2024년), 연안운항 무인수상정(2024년)이 각각 개발된다.
‘전문작업형’으로는 로봇드론(2026년), 전문작업 육상무인이동체(2027년), 심해작업 무인잠수정(2027년)이, ‘자율협력형’으로는 농업용 군집 무인이동체(2024년), 모선-자선형 군집무인이동체(2027년), 재난용 군집 무인이동체(2029년)가 만들어진다.
‘융·복합형’으로는 무인선-무인잠수정 복합체(2028년), 수송용 육공분리합체기(2029년), 잠수가능 무인기(2029년)가 개발된다.

내년 R&D에 120억원 우선 지원
과기부는 내년에 120억원 규모의 무인이동체 핵심기술개발 R&D를 우선 지원하고, 향후 10년간에 걸쳐 55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키로 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을 올해 세계 7위에서 2022년 6위, 2030년 3위 수준으로 점차 끌어올리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2016년 2.7%에서 2022년 7%, 2030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무인이동체 분야 일자리 창출 규모는 2016년 2750명에서 2022년 2만7900명, 2030년 9만2000명으로, 수출액은 2016년 2억달러에서 2022년 50억달러, 2030년 160억달러로 늘리겠다는 목표도 함께 제시했다.
이진규 과기부 제1차관은 “무인이동체는 혁신성장을 가장 먼저 가시화할 분야”라며 “과기부는 산·학·연·관이 필요로 하는 무인이동체 핵심기술을 개발·공급해 4차 산업혁명의 견인자와 조력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