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부산, 대구 등 주요 도시의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향후 30년 동안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인구 자체가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5∼2045년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을 보면 생산가능인구는 빠르게 줄고 있지만, 지역별 편차가 나타난다.
전국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부산·대구·대전은 이미 감소를 시작했다.

2016년은 광주·전북, 2017년 울산·강원·전남·경북·경남, 2020년 인천·충북, 2021년 경기, 2023년 충남, 2028년 제주 순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시작될 전망이다.
2045년 기준으로 유일하게 세종에서만 생산가능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2045년까지 생산가능인구 감소율이 가장 큰 도시는 부산(-38.2%), 대구(-37.0%)가 꼽혔다.
서울도 -32.6%나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246만명에 달하는 수치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낮은 출산율과 고령화로 15세 유입 인구는 줄고 65세를 넘어서는 인구는 늘어나고 있다”며 “부산이나 대구는 여기에 다른 지역으로 인구가 유출되면서 감소 폭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45년 전체 인구 중 생산가능인구의 비중은 17개 시도 모두 60% 미만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그나마 서울이 57.7%로 가장 높고, 전남은 46.1%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가능인구 뿐 아니라 전체 인구 감소도 시도별로 차이가 나타날 전망이다.

서울 인구는 2015년 994만명(총 인구의 19.5%)에서 30년 뒤 881만명(17.3%)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정점 시기는 부산(1995년), 서울(2009년), 대구(2011년), 광주·전북(2015년), 전남(2016년), 울산·경북(2029년), 경남(2030년), 대전·경기(2034년), 인천(2037년), 강원(2038년), 충북(2039년), 충남(2041년), 제주(2044년)이라고 통계청은 밝혔다.

2015∼2019년에는 전북·경북·부산에서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된다. 전남과 강원은 각각 2013, 2014년에 이미 자연감소가 시작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