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0.75∼1.00%인 기준금리를 1.00∼1.25%로 인상함에 따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의 한숨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중소기업들의 경영난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는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의 이슈가 사회적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금리마저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소비회복 지연이나 수출 감소 역시 걱정거리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2일 창립 제67주년 기념사에서 “앞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는 등 경제 상황이 더 뚜렷하게 개선될 경우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런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면밀히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금리 인상은 이미 몇달 전부터 예상됐던 사안이라 원·달러 환율이나 한국 시장금리 등 시장에 반영돼 있다고 분석하지만 현장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

中企, 자금조달 비용 증가 우려
중소기업들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장 금리가 뒤따라 오르고 그 결과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하는 악영향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또 은행들이 금리 인상뿐 아니라 대출 심사도 더욱 강화해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은 자금조달마저 어려워지지나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이미 시중은행은 중소기업 대출 심사를 강화해 저신용 중소기업들은 은행보다 대출금리가 훨씬 높은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찾고 있다.

지난 4월 현재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평균 대출금리는 3.68%로 상호저축은행(8.06%)의 절반에도 못 미치지만, 중소기업은 예금은행 대출 문턱을 넘지 못하고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금융기관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에 따라 비은행금융기관의 지난해 연말 기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80조원으로 전년보다 33%나 늘었다.

서울에서 가구제조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한 기업인은 “대부분 중소기업은 부채를 갖고 회사를 운영하다 보니 부채비율이 높다”며 “영업이익률이 2∼3%대로 낮아서 힘든데 금리마저 인상되면 도산이 다른 사람의 얘기가 아니게 된다”고 걱정했다. 그는 특히 “금리가 인상되면 결국 은행만 어부지리를 얻고 중소기업은 생존이 어렵게 된다”고 지적했다.

서울에서 건강기능상품을 제조·유통하는 중소기업 대표도 “미국 기준금리가 국내 금리에 영향을 줘 국내 금리가 상승한다면 지난 2∼3년 동안 저금리로 사정이 좋았는데 이제 본격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 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최저임금 인상 등 ‘산넘어 산’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걱정도 늘어나고 있다.
한 PC방 사장은 “골목 상권에서 영업하는데 미국 기준금리가 어떻든 무슨 영향이 있겠느냐”면서도 “그 여파로 국내 금리가 오른다면 얘기가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안 그래도 최저임금 인상 문제때문에 걱정이 큰데 벌이는 똑같고 빚과 이자만 늘어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한 스크린골프장 점주도 “최저임금 인상이다 뭐다 힘든데 엎친 데 덮친 격”이라며 “스크린골프는 주로 퇴직한 40∼50대들이 많이 하는데 개업에 평균 3억∼4억원이 필요해 다들 빚이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불경기라 지금 있는 빚 갚기도 힘든데 금리가 인상돼 대출이자가 오르고 소비가 줄면 어떻게 먹고 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자영업자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 규모는 480조2000억원으로 추산됐다. 1년 전인 2015년 말보다 57조7000억원(13.7%) 늘었다.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지난해 3월 기준으로 전체 자영업자 가구의 평균 부채 규모는 1억1300만원으로 상용근로자 가구(7700만원)의 약 1.5배 수준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