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상위 4%의 기업이 전체 매출의 70%를 독식하는 역삼각형 구조가 뚜렷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2만기업연구소(소장 오일선)가 지난 11일 발표한 ‘국내 1만개 기업 매출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에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매출 상위 1만개 기업의 총 매출은 1910조원으로 집계됐다.

1만개 기업 중 매출이 가장 큰 단일 회사는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의 매출은 135조 원으로 전체 기업의 7.1%를 차지했다. 이는 하위권 기업 6830여 곳의 매출을 합친 것과 같은 규모다.

상위 4%가 매출 70% 독식
연구소에 따르면, 1만개 회사 중 가장 많은 매출 구간은 100~500억원대였다.

전체의 48%(4802곳)가 이 구간에 몰려 있었다.
뒤를 이어 100억원 미만이 19.7%(1969곳), 500억~1000억원 14.7%(1467곳) 이었다.

중견기업으로 분류되는 매출 1000억~5000억원 사이 기업은 1345곳(13.5%)으로 나타났다. 매출 5000억원 이상 1조원 미만 대기업군은 198곳(2.0%), 1조원 이상 기업은 219곳(2.2%)으로 집계됐다.

매출액 기준 국내 기업 구조는 전형적인 ‘피라미드’ 형태인 셈이다.
반면 매출 규모로 보면 전체 기업의 2.2%에 불과한 ‘1조 클럽’ 기업들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66.4%에 달했다.

5000억원 이상 대기업군까지 포함하면 417개에 불과한 기업이 전체 매출의 73.4%를 좌우하는 것이다.

오일선 소장은 “숫자만 놓고 보면 대기업은 적고 중소기업 숫자는 많은 전형적인 삼각형 구조지만, 실제 매출은 대기업이 전체 매출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역삼각형 구조가 확연했다”며 “국가 경제가 장기적으로 튼튼해지려면 중간 허리 층이 지금보다 더 두터운 ‘마름모꼴’ 내지 ‘항아리’ 유형에 가까운 산업구조로 재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전자·자동차 업종 많아
국내 1만 개 기업을 업종별로 구분하면 전자업종이 1094개사(10.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동차(1076곳), 건설업(996곳), 유통·무역(995곳) 등 순이었다.

매출 영향력으로 보면 전자업종이 317조9977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체의 16.7%를 차지했다. 2위는 307조4722조원(16.1%)을 기록한 에너지 업종이었다.

여기에 자동차, 무역·유통, 건설업 등 상위 5대 업종의 매출을 모두 합하면 전체 매출의 65%를 차지했다. 기업 규모뿐 아니라 업종별로도 매출 양극화가 나타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신산업으로 떠오르는 바이오, 로봇, 우주항공, 소프트웨어, 헬스케어 등 미래 분야에서는 글로벌 기업이 없는 현실이다.

오일선 소장은 “국내 산업은 전자, 에너지, 자동차, 무역 및 유통, 건설업 등 ‘빅5 업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이지만 “차세대 먹을거리 시장을 발굴하려는 노력이 더욱 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