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공급자 중심의 양적 투입 확대를 통해 창업저변을 확대하는데 집중했던 정부의 창업정책이 글로벌 시장경쟁력을 확보한 ‘스타 벤처기업 육성’으로 획기적으로 달라진다.

지난 18일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은 범정부적 창조경제 정책 추진을 통해 기술창업 기업이 글로벌 스타벤처로 도약·성장(Scale-up)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창업기업 육성정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전략은 창업기업 육성정책 혁신을 통해 창조경제 성과 창출을 가속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위기 속에 영웅 만들기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률 목표 하향 조정, 저유가의 장기화 등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및 회복 지연의 위기상황에서, 창업·중소·중견기업을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주역으로 육성하는 것은 시대적인 요청사항이다.
주요 선진국에서는 창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을 목표로 설정하고, 총성 없는 ‘창업전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정부가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하고 10여차례 창업대책을 추진해 창업 활성화의 불씨는 되살아났지만, 미국 실리콘밸리 등 선진국 기술창업 생태계와 비교하기엔 창업의 질과 성장사다리 측면에서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우리 경제가 당면한 위기상황을 타개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재도약을 이루기 위해서 급변하는 기술 트렌드와 글로벌 시장환경이 요구하는 ‘제3세대 기업가’ 그룹의 출현이 시급하다.

1960~1970년대 대기업을 일으킨 이병철·정주영 창업주가 1세대 기업가라면, 1990~2000년대 벤처기업을 창업한 변대규·황철주 회장이 2세대 기업가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창조경제가 요구하는 제3세대 기업가 육성을 통해 ‘기업가적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5대 혁신전략 및 정책과제
이번 혁신전략은 창업정책의 일부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스타벤처 육성’이라는 명확한 비전을 정립하고, 시장의 눈높이에 맞는 5대 혁신전략과 15개 정책과제를 마련했다.

첫번째 전략은 창업기업 육성 정책의 전략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정부는 창업기업 육성사업 포트폴리오를 전략적으로 개편키로 했다. 이를 위해 창업기업 육성사업 포트폴리오를 창업 저변확대 위주에서, 고급기술창업(Start-up)-도약(Scale-up)-글로벌(Global) 중심으로 재편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아이디어 창업에서 기술창업으로 정책중심을 전환한다.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도전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기술인력 창업투자 펀드 조성 등 투자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대학에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어 신산업 진입규제의 발굴·해소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기술창업 여건을 대폭 개선할 방침이다.

두번째 전략은 성장사다리의 취약한 연결고리를 보강하는 것이다. 우선 창업도약기(3~7년)의 성장 촉진체계를 확충하기 위해 성장단계별 예산 구조를 개편해 내년부터 적용키로 했다. 창업초기(3년 이내)에 집중돼 있는 창업관련 예산을 단계적으로 조정해, 창업도약기(3~7년) 기업 지원을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또한 혁신 통로 구축을 위한 인수합병(M&A)도 활성화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기업 중 M&A 희망기업을 조사·발굴하고, 거래소·벤처협회·중견련 등을 통해 매수 희망기업과 매칭을 추진키로 했다.

세번째 전략은 성과지향적인 고부가 기술창업을 촉진한다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우수 인력의 창업생태계 유입을 확대키로 했다. 성공 가능성이 높은 유망 창업자를 적극적으로 발굴·추천하는 (가칭)기술창업 스카우터 제도도 신설한다. 창업자, 선배 기업, 기술창업 스카우터, 엔젤·VC 등이 활발하게 참여하는 ‘창업·벤처 민간 커뮤니티’도 육성키로 했다.

네번째 전략은 위험분산형 기술창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것이다. 기술 가능성에 투자하는 순수 벤처투자 목적을 되살리겠다는 게 취지다. 이를 위해 유망 창업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전용펀드를 확충, 올해 안에 1600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밖에 바이오 등 기술기반 업종 투자 펀드에 대한 모태펀드 출자평가 시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VC를 우대키로 했다.

끝으로 창업자 육성체계를 시장밀착형으로 개편하는 전략도 펼친다. 창업기업 육성 대상 평가위원을 선배 벤처인, VC 및 엔젤투자자 등 시장과 기술을 이해하는 민간 전문가 중심으로 재편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존의 1회성 발표평가를 지양하고, 1박 2일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관찰식 평가방식으로 바꾸기로 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