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의 국기(위 부터)와 중국 창양의 노동자.

증가하는 신흥국 중산층…경제·정치 지형도 흔든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지난 10년은 이라크 공습과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EU의 확대와 유로존 위기, 동아시아의 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유행과 중동에서 비슷한 질병의 발병, 리비아의 화학 무기 포기와 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 그리고 핵무기를 만들기로 한 북한의 결정과 이란의 핵 보유 가능성을 억제하는 협상의 재개를 한 쌍으로 묶어 생각할 수 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거의 세계경제를 붕괴시킬 뻔했고, 아랍의 봄은 북아프리카의 지난 10년 동안의 정치적 부진을 뒤집었고, BRICS는 세계경제의 표어가 됐다. 역사상 처음으로 도시의 인구가 농촌의 인구를 초과했다. 소셜미디어 기술은 세계 통신에 혁신을 일으켰고, 서구 정보기관의 비밀스런 활동을 낱낱이 까발렸다.
지난 10년은 전례 없이 선진경제권에서 신흥경제권으로의 자본의 이동이 빠르게 이뤄졌다. 이러한 변화가 국제적 문제의 복잡함과 불확실성을 만들어냄에 따라, 안보의 위험과 정치적 위험에 대한 관리는 기업들이 비즈니스를 실시하는 방법과 더욱 직접적으로 연관짓게 됐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발전은 지난 10년 동안의 세계 안보 위기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2003년의 이라크 전쟁 발발은 페르시아만 지역을 전체에 안보 위기를 가중시켜 알제리,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와 그 외의 테러리스트 위협의 증대에 영향을 끼쳤다.
2011년 초에 아랍의 봄 혁명이 지역적 국제적 파급효과를 일으키며 북아프리카와 레반트(동지중해 연안, 도서)지역의 안보 환경을 극단적으로 변화시키는 동안 2009년 이후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의한 긴장의 점진적 증가는 전략적 안보위험(특히 국제 석유 시장에서 느낄 수 있는)을 가중시켰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북한의 핵 위협은 역내 위기의 예측 불가능한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세계 안보의 위험에는 지속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못했다.

2014년과 그 너머의 예상
이머징 마켓은 점점 부적절한 명칭이 되고 있다. 10년 이상의 격렬한 성장 이후 선도적인 신흥개발도상국들은 국제적으로 잘 통합되고 있고, 계속해서 자유화되며 경쟁력 있게 됐다. 이 나라들은 이미 떠올랐다(emerged). 하지만 이머징 마켓의 성장 모델은 압박을 받고 있다. 금융 위기 전, 그들은 미국과 다른 서구권의 부채에 기반한 소비에 의존했다. 금융위기 이후, 이머징 마켓의 성장은 저리자금의 홍수, 미국과 유럽의 밑바닥을 기는 이자율, 자국의 관대한 국가재정 및 금융 지원 위에서 표류했다.
이머징 마켓의 정부는 여러 종류의 정치적 요구에 직면했다. 이머징 마켓 성장의 가장 역사적인 효과 중 하나는 중산층(연 수입 4000달러 이상)의 증가다. 중산층은 지난 10년간 20억명 이상으로 증가했고, 다음 10년 동안 30억명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증가하는 중산층은 개인의 자유, 경제적 기회, 좋은 통치 같은 더 넓은 범위의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러한 요구는 언제나 견고한 정치적 시스템 및 경제적 기득권과 충돌하게 된다. 실제 2011년 이래 큰 규모의 사회적 사건들인 아랍의 봄, 오큐파이와 인디그나도스 같은 사회운동, 터키와 브라질 그리고 불가리아의 반정부 시위 등은 이머징마켓의 시대에 경제적 변화가 정치적 변화를 얼마나 크게 추월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들은 빠른 성장이 그들과 가족 그리고 공동체에게 세계 금융 상황에서의 단순한 찬사보다는 새롭고 더 좋은 기회를 만들어주기를 기대한다. 경제적 변화와 정치적 변화 사이의 격차는 도심에서 볼 수 있는 출세지향적 중산층과 보수적인 시골선거구에 뿌리를 둔 정부 사이의 불안정한 간극에서도 되풀이될 수 있다. 그리고 단지 정부만이 타겟이 되는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 역시 중산층의 면밀한 환경, 토착민의 권리, 작업장 안전, 경제 정의의 영역 아래에 있다.
증가하는 세계 중산층에 따른 위험은 주로 정치적인 것이다. 잃을 수 있는 유형자산을 가진 사람들이 부수적인 피해(collateral damage)를 입힐 수 있는 폭력적인 반란에 참여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사회적 저항 운동이 정부를 무너뜨리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겠지만, 경제적 자유화를 유보시키고, 공공지출을 증가시키는 단기적인 합의를 유발시키곤 한다.

조나단 우드 (컨트롤리스크스 AD·글로벌리스크 담당)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