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에서 확산하는 임금상승 요구가 저임금에 기반을 둔 임가공기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장기적으로는 임금상승이 구매력 향상으로 이어져 중국 내수지향형 기업이나 소비재 수출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 ‘ 중국 내 노동쟁의 및 임금상승 동향과 시사점’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중국 내 임금인상 요구는 노동력의 수급불균형, 노동자의 의식수준 변화, 중국 정부의 내수확대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보았다.
그러면서 최근 중국에서 노동환경 변화가 일어난 배경에는 1980년대 이후 시행한 ‘한 자녀 정책’으로 청년 노동자 수가 급격히 감소한 점을 들었다.
이어 경제발전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는 중국 노동자의 급여수준, 열악한 근무조건, 사회보장제도의 미비 등이 생산현장에서 임금인상과 처우개선 요구로 이어졌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중국정부가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수출주도형 발전전략의 한계를 경험하고 내수주도형 경제로 전환을 추진하는 것도 임금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이 보고서는 “이러한 노동환경 변화가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에 당장 충격을 줄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중국 노동자의 임금인상 요구가 확산하는 과정에서 노사분쟁의 가능성이 상존해 중국 노동자의 저임금에 의존해온 임가공 생산기업은 더 많은 난관에 직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중국 정부의 노동관련 법규 준수, 노무관리 전담직원의 파견, 생산설비 자동화 확대, 임가공 생산을 내수 개척용 비즈니스로 전환, 일부 노동집약적 생산설비를 중서부 내륙으로 분산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하지만, 중국의 임금인상은 중국 내수시장 확대로 이어져 내수지향형 기업, 내수 유통기업이나 생필품 등 소비재 수출기업에는 중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중국의 임금인상이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선제적 노사관리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면서 “이와 함께 중국 내수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거나 확대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