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관세·탈탄소·저가 공세… 삼중고에 짓눌린 철강 파생상품 中企
대미 수출 반토막·원자재 값↑ 中企 44% “관세관련 정보 몰라” 中 덤핑수출 대응방안도 시급
한국 철강산업이 고율 관세, 탈탄소 규제, 중국발 저가 공세라는 삼중고에 짓눌리고 있다. 특히 미국이 6월 4일부터 철강·알루미늄 수입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했으며 유럽연합(EU)도 수입쿼터를 47% 축소하면서 수많은 중소 철강 수출기업들의 타격이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중소기업의 철강 수출액은 전년 대비 15.5% 감소했다. 대미 수출은 43.8% 급감했고, 주요 10대 파생상품의 대미 수출도 36.8% 줄었다.
대미 수출 급감의 여파는 철강 파생제품을 사용하는 중소 제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주로 기계요소·열교환기·냉난방기 부품 중소기업들은 “미국 철강 관세 50% 인상 이후 원재료 가격이 최대 20% 상승했다”며 “납품단가를 즉시 반영하지 못해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됐다”고 호소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더 큰 어려움은 ‘정보의 사각지대’에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조사에 따르면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에 신규 관세가 부과된 사실을 모른다는 응답이 44%에 달했다. 자신이 해당 품목에 포함되는지조차 모른다는 기업도 40%를 넘었다.
한 철강 수출업체 관계자는 “관세보다 무서운 건 정책 정보를 제때 알 수 없는 것”이라며 “뒤늦게 통관에서 발이 묶이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중국발 초저가 수출이 국내외 철강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중국은 올해 들어 탄소배출 감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수 물량을 해외로 돌리며 철강을 ‘원가 이하’ 수준으로 덤핑 수출하고 있다.
최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1~9월 중국산 열연강판의 수출단가는 톤당 560달러로, 국내산 평균가(830달러) 대비 30% 이상 낮다. 국내 중소 철강업계는 “덤핑 수입이 늘수록 국내 단가도 따라 내려가 생산을 유지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호소했다.
이에 따라 철강업계의 중소기업들은 정부에 실질적 대응을 주문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출기업이 관세·통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피해기업 대상 긴급 수출바우처, 물류비 절감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 원부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현금흐름 악화를 막기 위한 세제·금융지원도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