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

캐시노트부터 터질 줄은 몰랐다.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는 연쇄창업자다. 2011년 모바일 기반 마켓 리서치 서비스인 오픈서베이를 창업했다. 아이폰과 갤럭시폰이 만들어낸 모바일 시대와 타이밍이 딱 맞아떨어진 서비스였다.

지난 2016년 오픈서베이를 떠난 김동호 대표는 다음 트렌드는 본능적으로 데이터에 있다는 걸 알았다. 모바일로 보여진 데이터가 결국 산업의 트렌드를 바꿀 판이었다.

김동호 대표는 대학을 졸업한 직후 금융사에서 인덱스 펀드 알고리즘을 설계했었다. 금융사에서 데이터가 어디에 필요하고 어떻게 쓰이는지 배웠다. 결국 중요한 건 데이터를 어디에서 마이닝할 것이냐였다.

김동호 대표는 소호 시장에 주목했다. 스몰오피스 홈오피스의 약자인 SOHO는 쉽게 말해 자영업자·소상공인 시장이었다. 정책과 지원이 필요하지만 무엇이 필요한지 어떻게 도움을 줄지 아무도 모르는 시장이었다.

불균질하기 때문이었다. 자영업자라고 뭉뚱그려 얘기하지만 들여다보면 식당부터 병원까지 업종과 업태도 다양했다. 결국 부족한 건 데이터였다. 그래서 준비한 서비스가 캐시노트와 크레딧체크였다. 모두 소상공인들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해주는 서비스였다. 현금과 신용이었다.

 

하루 매상 얼마인지 간단히 해결

식당 사장님들은 하루종일 뼈빠지게 일하고 나서도 오늘 얼마나 벌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매출은 알 수 있다. 테이블이 얼마나 찼는지는 감으로 알 수 있다. 문제는 번 돈과 나간 돈을 계산해서 얼마나 수익이 남았는지를 알기가 어렵다.

게다가 카드 결제가 대부분이라 현금이 꽂히는 것도 아니다. 8개에 달하는 카드사들은 2일에서 3일 정도 정산일이 늦고 그나마도 제각각이다. 직원 급여날이나 임대료 납부날이 겹치면 현금은 쑥 빠지는데 입금은 안 된다. 구력이 좀 있는 사장님이면 감으로 얼마나 버는지 알지만 초보 사장님들은 제자리걸음만 걷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자영업자들한텐 너무 아픈 페인포인트다.

캐시노트는 자영업자를 위한 현금출납서비스. 매출과 지출만 입력하면 하루벌이가 딱 나온다. 자신의 노동이 얼마짜리인지 직관적으로 알려준다. 요즘 말로 치면 사스다. SaaS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 애스 어 서비스다. 그런데 사스라는 표현부터가 자영업자 사장님들한텐 너무 어렵다.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 대표, 소호시장에 주목

국민 사장님앱 첫선, 신용카드 가맹점 90%접수

캐시노트는 카카오톡에서 받은 링크를 통해서도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른바 미니앱 방식이다. 여느 사스 서비스들처럼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를 받아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 역시 사장님들을 위한 유통 방식이다. 동네 자영업자 사장님들은 단체카톡방이 많다. 여기에서 정보를 주로 공유한다. 카톡 링크가 더 편할 수밖에 없다.

한국신용데이터라는 회사명도 마찬가지다. 스타트업 이름치곤 올드-패션한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사장님들한텐 오히려 익숙하고 신뢰가 갈 수 있다. 이름에 비전도 담겨 있다. 신용을 준다. 데이터를 받는다. 사장님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준 캐시노트는 나오자마자 대박이 났다. 업종업태가 무관이었다.

식당 사장님 쪽에서 대박이 난 것 같더니 의사 선생님들 사이에서 대박이 났다. 의사도 결국 의사면허증 있는 자영업자다. 페인포인트는 다르지 않다. 학회 단체카톡방에서 입소문이 나자마자 하루 수백건씩 다운로드가 됐다. 완벽한 J커브였다.

전국 신용카드 가맹점 숫자는 192만개다. 이 중에서 170만개가 캐시노트를 쓴다. 90%에 육박하는 시장 점유율이다. 전국 자영업자 숫자는 줄잡아 550만명 정도다. 이들이 종사하는 업체 가운데 카드결제가 가능한 사업장이 200만개가 좀 안 된다.

거의 대부분은 캐시노트를 쓰는 셈이다. 이쯤 되면 캐시노트는 국민 사장님 앱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캐시노트는 무료다. 5000원 정도의 유료 결제로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할 순 있다. 한 푼이 아쉬운 사장님들이 쉽게 유료 결제를 할 리가 없다. 캐시노트도 구태여 사장님들의 호주머니 돈을 받으려고 하지 않는다. 이것이 신용이다.
 

식자재 유통 스타트업 푸짐인수

대신 이렇게 얻은 신용을 바탕으로 한국신용데이터가 필요로 하는 건 데이터다. 지난 10월 초 한국신용데이터는 LG유플러스로부터 250억원의 지분 투자를 이끌어 냈다.

요즘은 투자의 겨울이라고 불릴 정도로 혹한기다. 이미 벤처캐피털들의 기반이 되는 모태 펀드의 규모도 턱없이쪼그라들고 있다. 2023년이 더 추울거라는 의미다.

이런 와중에 LG유플러스가 한국신용데이터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한 것이다. LG유플러스는 한국신용데이터의 지분 2.3%를 취득했다. 전략적 투자자로 나선 것이다. 보통 재무적 투자자는 스타트업의 IPO를 원한다. 상장해서 대박이 나고 이른바 캐시아웃을 하는 게 최우선 목표다.

소상공인 매출관리 서비스인 ‘캐시노트’는 2017년 출시돼 재방문 고객 분석, 세금계산서 관리, 리뷰 관리, 상권 분석, 마케팅 솔루션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소상공인 매출관리 서비스인 ‘캐시노트’는 2017년 출시돼 재방문 고객 분석, 세금계산서 관리, 리뷰 관리, 상권 분석, 마케팅 솔루션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반면 전략적 투자는 각자의 사업을 위한 동맹에 가깝다. -윈을 원한다. LG유플러스는 한국신용데이터만이 갖고 있는 국내 자영업자 시장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구독상품을 기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영업자 시장은 크고 넓지만 대신 공략하기가 쉽지 않다. 역시나 데이터가 부족해서다. 한국신용데이터는 매출과 수익이나 지출이나 상권 같은 매우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한 유일무이한 회사다. 국내 B2B 사스 기업 가운데 100만명 이상의 구독자를 확보한 유일한 스타트업이다.

양질 데이터 확보로 LGU+와 전략적 투자 성사

인수합병에 투자 집중, 시장지배력 확대 가속

한국신용데이터에는 이런 전략적 투자자들이 유난히 많다. KB국민은행, 신한카드, 삼성화재, 카카오, GS가 한국신용데이터의 동맹들이다. 상당수가 금융사들이다. 지금은 금리 상승기다. 돈값이 오르고 있다. 연준의 최종 금리는 2023년이면 5%대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금리도 뒤쫓아가고 있다. 신용대출 금리는 이미 6%대를 넘어섰다. 물론 이러면 대출 수요도 준다. 그렇지만 자영업자들은 다르다. 늘 대출이 필요하다. 금융권도 마찬가지다. 대출을 계속해야 돈 장사를 이어갈 수 있다.

금리가 올라도 돈의 수요와 공급은 좀처럼 사그라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문제는 대출 리스크다. 부실 위험을 줄여야만 한다. 그러자면 정교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한국신용데이터가 갖고 있다. 이른바 씬파일러 대출을 위해선 한국신용데이터와 전략적 제휴를 맺어야만 한다.

한국신용데이터는 LG유플러스의 투자로 기업가치 1조원대 이상으로 평가 받는 유니콘이 됐다. 20164월 창업 이후 이뤄낸 성과다. 한국신용데이터의 누적 투자금은 1600억원이 넘는다. 그런데 한국신용데이터가 투자금으로 중점을 두고 있는 일은 인수합병이다.

보통 플랫폼을 만들면 광고 영업부터 하기 십상이다. 쉽고 빠르게 매출을 일으킬 수 있다. 한국신용데이터는 다르다. 오히려 투자금으로 사장님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식당용 식자재 유통 서비스 스타트업 푸짐이 대표적이다. 가정 주부님들은 마켓컬리로 신선식품 장을 볼 수 있다. 사장님들한테 컬리는 너무 비싸다. 새벽시장에 나가서 직접 식재료를 준비해야만 한다. 고된 일이다. 또 다른 페인포인트다.

한국신용데이터는 푸짐을 인수해서 이 페인포인트를 해결했다. 전국 외식 사업장은 64만곳 정도다. 연평균 4100만원 정도의 식재료비를 쓴다. 대략 16조원 시장이다. 64만곳 가운데 40만 업체가 캐시노트를 쓴다. 한국신용데이터는 이들이 얼마를 어디에 어떻게 언제 쓰는지 알고 있다. 시장성을 판단하기에 매우 유리한 입장에 있다는 뜻이다. 사장님들의 페인포인트를 해결하고 받은 선물이다.

 

신용 얻으면 데이터 얻는다

코로나 기간엔 정부 지원 정책 사업을 안내해주는 챗봇 회사인 비즈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르소나라는 스타트업도 인수했다. 자영업자 대상 정부 지원 사업은 많다. 정작 사장님들은 모른다. 비즈봇을 통해 이젠 캐시노트가 그런 정보제공서비스를 하게 된다.

최근엔 무려 900억원을 들여서 파이서브코리아의 지분 100%를 인수했다. 미국 결제 솔루션 전문 업체인 파이서브는 카드결제 단말기나 키오스크를 공급한다.

결국 자영업의 핵심은 카운터다. 돈 계산을 편리하게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캐시노트와 파이서브는 시너지를 낼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한국신용데이터는 배달앱들이 결제를 해주기 전에 미리 결제를 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하기 시작했다.

쿠팡이나 배민 같은 배달앱을 통해 들어온 주문은 카드사를 거치고 배달회사도 거쳐야 해서 결제 주기가 더 길다. 돈 나갈 곳이 많은 사장님들한텐 또 다른 페인포인트다. 한국신용데이터는 이런 매출채권을 매입하고 정산을 먼저 해준다.

한국신용데이터는 최근 마침내 한국평가정보라는 씬파일러 신용평가 자회사도 설립했다. 원래 캐시노트와 함께 선보이려고 했던 크레딧체크를 고도화한 서비스다. 금융사도 자영업자도 필요한 정밀한 신용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신용데이터는 이미 국민 사장님 서비스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한국신용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전략적 투자자들도 이어지고 있다. 페인포인트를 해결해주고 지속적으로 신용을 얻으면 데이터를 얻고 결국 데이터가 미래의 에너지가 된다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 덕분이다. 이미 이름에 답이 있다. 한국에서 신용을 얻고 데이터를 받는다. 투자의 빙하기에 유니콘이 된 배경이다.

 

- 신기주 더 밀크 코리아 부대표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