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협동조합의 현주소와 향후 역할·지향점]
조합수 기준 제조업이 과반
조합당 평균 회원수 감소세
전담인력·인프라 보완 시급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중소기업협동조합 수는 총 920, 조합원 기업수는 69716개에 이른다. 다만, 단체수의계약제도(1965년 도입),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2007년 도입) 등 정부 지원정책으로 성장세를 유지하다가, 2010년 이후 정체가 지속되고 있다.

중소기업협동조합에 가입한 중소기업은 전체 688만개사 중 1.0% 수준으로, 조직화율은 광업이 13.8%, 제조업 5.6%, ·소매 1.4% 수준이다.

조합 유형별로는 전국조합 217, 지방조합 306, 사업조합 374, 연합회 23개로 이뤄졌다. 조합수 기준으로는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52.3%(481), 24.3%(208)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조합들의 평균 수입은 2020년 기준 61000만원, 지출은 64500만원이었다. 수입구조는 사업수입이 77.4%(47200만원)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회원수입이 12.4%(7600만원), 사업외 수입 10.2%(6200만원) 순이었다.

지출은 사업비 53.5%(35000만원), 인건비 등 관리비 44.1%(29000만원), 사업외 비용이 2.4%(2000만원) 등의 순이었다. 평균 자산은 187500만원, 자본 82600만원, 부채는 104900만원으로, 2017년과 비교시 자산규모는 유사했으나, 부채비율은 다소 증가했다.

중소기업 수의 전반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협동조합 소속 조합원 수는 정체 및 감소세로 중소기업의 조합 가입률은 감소를 보이고 있다. 전체 중소기업 수 대비 협동조합 가입률은 20002707/2.4에서 20103122/2.1, 20155889/1.2, 20206888/1.0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조합당 평균 조합원 수도 감소해, 규모화된 공동사업 추진 동력이 약화되고 있다. 조합당 평균 조합원수는 200088개사에서 201069개사, 201576개사, 202076개사로 감소했다. 특히 업종별 조직화율도 큰 차이를 보이는데, 중소기업의 91.6%를 차지하는 도·소매업(1.4%)과 서비스업(0.3%)의 조직화율 저조하다.

2020년 기준, 상근직원이 있는 조합은 85.8%이며, 상근직원 보유 조합의 평균 직원수는 3명이었다. 공동사업을 수행하는 조합 비율은 56.7% 수준이며, 대부분 공동 구매, 판매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 공동기술개발, 공동생산, 공동배송 및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조합 간 공동사업 추진등 다변화가 필요하다.

조합은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전담인력과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며,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인프라 보완도 시급하다. 또 지역사회 공헌 등 사회적 가치 창출, 환경변화 대응력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의 협동조합 가치 관련,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지역공헌 및 사회적 가치 창출 등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ESG(환경, 사회적가치, 투명경영), 탄소중립 등 대응 역량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지난해 실시한 협동조합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합들은 조합의 가치와 지향점을 공동사업을 통한 수익 창출’(58.0%), 조합의 주요 역할로 조합의 공동사업 활성화’(56.7%)를 꼽고 있었다. 또 공동사업을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한 57.3%의 조합들 중, 공동사업의 성과가 높다(흑자)’고 응답한 비율은 37.8%낮다(적자)’는 응답(12.8%)보다 높았다.

공동사업의 사회적 가치 1순위로는 상생협력 및 공정거래’(74.4%),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공헌’(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합들은 부족한 정부 정책으로 자금 지원’(39.3%)판로 지원’(20.7%)이라고 응답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