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R 칼럼] 조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조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조상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2022년 현재 한국사회는 행복할까? 한국은 지난 반세기 동안 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속도로 경제발전을 이뤄냈지만 사회적 양극화와 불평등, 단절도 심화됐다. 우리사회의 계층별, 성별, 세대별 불평등은 OECD 평균보다 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정부는 공공복지정책과 복지재정을 확대해 왔지만 여전히 복지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이제 국가정책만으로 사회를 발전시키고 문제를 해결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정부가 사회복지 수요에 대한 재정투입을 늘려 양극화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이에 따라 국가-시장-시민사회 간 새로운 연결과 융합을 위해 사회적 경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bity, CSR), 가치 창출(Creating Shared Value) 등 개념이 2000년대부터 부상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국내외 기업들은 사회적 가치와 사회 혁신, 사회적 경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잡지 포춘(Fortune)은 매년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선정기준에 재정 건전성뿐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통한 기업의 혁신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애플과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SK그룹과 포스코,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등 대기업과 공기업이 사회적 가치를 사업 포트폴리오에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기업들은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로 사회적·경제적 이익의 융합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넘어서 기업시민성(Corporate Citizenship)’으로의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다. 20198, 아마존과 애플, GM 등 미국의 주요 CEO 200여명이 참석한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주주와 고객은 물론 임직원과 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 관계자의 가치를 창출하고 투자를 강화하는 것이 기업의 새로운 목적이라는 성명서가 발표됐다.(The New York Times, 2019)

이는 기존의 사회적 책임에서 더 발전해 시민사회의 주요 행위자로서의 기업이 강조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과거에 시혜적 차원에서 비용개념으로 인식됐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현재는 사회와 기업의 가치를 동반 성장시키는 투자개념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위기와 맞물려 ESG 경영이 모든 기업들에게 화두로 떠오르면서 기업의 경영목표는 당장의 생존에서 지속성장 추구로 바뀌고 있다.

ESG 경영의 뿌리가 되는 기업시민성은 기업의 사회책임경영과 지속가능경영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업시민성은 기업의 사회책임을 경영방식 전반에 적용하는 중요한 경영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업시민성의 국내 모범사례로는 포스코가 있다. 국내에서는 포스코가 선도적으로 기업시민성을 주창하며 사회책임경영의 역할모델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포스코는 경영이념에도 기업시민성을 반영했고 기업시민실을 창설해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는 2018년 기업시민을 주창했으며 2019년에는 기업시민헌장을 선포하고 다양한 교육과 활동을 통해 임직원들의 내재화를 이끌었다.

또한, 2020년에는 기업시민에 대한 실천 안내 지도로서 CCMS(Corporate Citizenship Management Standards)를 제정했으며 회사의 주요 업무영역을 B(Business), S(Society), P(People) 관점에서 13개 모듈로 구분하고 모듈별 미션, 사례, 지침 등을 구체화했다. 이를 통해 포스코는 기업이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보유한 역량과 자원을 바탕으로 사회문제에 적극 참여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공존과 공생의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시민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대기업이나 공기업과는 규모나 역량이 다른 중소기업의 CSR 활성화를 위해서는 획일적이고 동일한 지침을 마련하기는 어렵다. 현재 중소기업을 위한 CSR 지침으로서는 ISO 26000 등의 글로벌 지침과 가이드가 나와 있으며 이 기준을 수행하지 않으면 세제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협력기업으로부터 외면당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지침 실행상의 혼돈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획일적이고 동일한 CSR 프로그램이 아니라 대기업과는 달리 규모가 작고 업종이 다양한 중소기업에 적합한 CSR 경영모델 수립이 필요하다.

이제 중소기업도 CSR은 비용이 아닌 경영의 일부로 받아들이려는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CSR은 중소기업이 중견기업과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사항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소기업도 소재지역과 업종, 규모에 맞게 성장단계별 CSR 경영모델을 수립하되 글로벌 추세에 발맞춰 기업시민으로서 지역사회의 친구와 이웃이 돼 함께 성장하는 것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