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 공공硏, 핵심품목 실증장비 21년 사업기간내 403종 구축완료
산업부, 소부장 테스트베드 현장점검 간담회 개최
국산화, 설비투자확대, 글로벌 공급망 진입 등 성공사례 공유

정부가 반도체, 이차전지 등 5대 분야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연내 마련한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은 13일(월), 한국자동차연구원의 ‘소재·부품·장비 100대 핵심전략품목 테스트베드’(이하 소부장 테스트베드) 현장을 방문해 구축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테스트베드 구축에 참여하고 있는 주요 공공연구기관과 간담회를 주재했다.

이날 간담회는 공공연의 소부장 기업지원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5개 주요 공공연의 소부장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기업지원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개최됐다.

소부장 테스트베드는 기업의 개발제품을 사업화하는 과정에서 신뢰성, 양산성 등을 실증·평가하는 필수적인 인프라다.

산업부는 ’19년 7월 일본수출 규제 직후 소부장 100대 핵심전략품목의 실증·평가에 필요한 566종의 장비를 도출하고, 기업 지원 역량과 장비 운용 노하우를 보유한 15개 공공연구기관에 테스트베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소부장 테스트베드는 ‘21년 사업기간(‘21.7~‘22.3)까지 총 403종을 구축완료(최종 목표대비 71.2%)하는 등 최대한 구축을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 일본의 수출규제가 산업 체질 개선의 기회가 됐듯,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다가오는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주력산업 혁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연내에 5대 미래성장분야 소부장 특화단지 테스트베드 로드맵을 수립 발표하는 등 미래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 성장동력형 소부장 테스트베드 로드맵 수립을 추진하겠다”며, “미래 성장동력과 소부장 주요 정책간 연계를 강화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5대 분야는 ▲ 반도체(경기 용인) ▲ 이차전지(충북 청주) ▲ 디스플레이(충남 천안·아산) ▲ 탄소소재(전북 전주) ▲ 정밀기계(경남 창원)다.

울러 “100대 품목 테스트베드도 차질없이 구축을 완료하고, 공공연과 함께 소부장 기업의 R&D부터 실제 생산라인 투입까지 기술개발 전 과정을 촘촘히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지는 간담회에서 ‘소부장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주요 성공사례 발표를 통해 성과를 공유하고 공공연의 산업정책에의 역할에 대해 토의했다.

소부장 기업들은 테스트베드를 활용해 △ 해외 의존도가 높은 제품의 국산화, △ 양산 설비투자 확대, △ 글로벌 공급망 진입 등 다양한 성공스토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 

예컨대 글로텍은 해외기업이 독점중인 프리미엄급 초저반사 필름의 국산화 기술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한국화학연구원의 파일롯 습식코팅 장비를 활용한 지원을 받고 제품개발에 성공해 양산설비 투자를 검토 중이다.

엠케이전자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의 열저항측정장비 등을 활용해 국내 최초 구리솔더볼(CCSB) 전공정 양산화에 성공해 전량 수입중이던 반도체 소재의 국산화에 성공해 20억원 규모의 설비투자 추진 중이다.

선박평형수 처리 장비 기업 테크로스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의 초가속수명시험, 설계지원 등 꾸준한 신뢰성 향상 지원으로 해외 독점 시장에 진출해 해당 분야 세계 1위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소부장 융합얼라이언스 기업지원 대표사례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소부장 융합얼라이언스 기업지원 대표사례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소부장 융합얼라이언스'의 강화를 통해 ➊ 기관별 테스트베드 확충 및 상호 협력하는 등 테스트베드 강화, ➋ 테스트베드 공동구축 등 기관 간 서비스 연계강화, ➌ 지적재산권 공유 및 정보기반 축적시스템 구축 등 정보의 개방, ➍ 기업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등 사업화 촉진, ➎ 주요 학술대회, 전시회 등 온-오프라인 공동홍보 등을 추진하기로 논의하는 등 다양한 정책제언이 제시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