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정규직선 2.0%P 하락
최저임금 인상 자제 등 제시

정년 연장과 임금 증가로 청년층 취업자 비중이 점점 감소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13산업별 청년층 취업자 추이 분석과 시사점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청년 취업자 비중이 정규직에서 가장 많이 감소(2.0%포인트)했다고 설명했다. 전체 취업자의 청년 비중은 14.6%에서 14.1%0.5%포인트 줄었는데 이중 정규직은 18.4%에서 16.4% 감소하며 여러 고용 형태 중 비중 감소가 가장 컸다.

또 전체 취업자를 분석대상으로 할 경우 절반 이상인 12개 산업(63.2%)에서 청년층 취업자 비중이 감소했고, 정규직으로 한정하면 13개 산업(68.4%)에서 청년층 취업자 비중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청년층 취업자 비중 감소 폭(6.4%포인트)이 가장 컸다.

정규직 근로자에서 청년 취업자의 비중 감소 폭이 가장 큰 산업은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으로 8.9%포인트 줄었다.

지난해 모든 산업별 청년층 취업자 비중을 살펴보면 전체 평균(14.1%)보다 높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6.6%),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26.1%), 정보통신업(20.3%),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9.7%),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7.8%) 7개 산업에 불과했다. 기존 근로자의 정년 연장과 평균임금 상승도 청년 취업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취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근로 연령 상한 1년 증가는 청년 취업자의 비중을 0.29%포인트 떨어뜨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간당 평균 임금이 1000원 증가하면 청년 취업자의 취업 비중은 0.45%포인트 감소했다.

정규직 근로자로 분석대상을 한정할 경우 부정적 영향이 더 커졌는데 근로 연령 상한 1년 증가는 청년 취업자의 비중을 0.42%포인트 감소시켰고, 시간당 평균 임금이 1000원 증가하면 청년 취업자 비중은 1.17%포인트 줄게 했다.

보고서는 정규직 근로자는 한 번 채용하면 높은 고용 보호로 해고가 어려워 기업들이 정규직 청년층의 추가 고용을 상대적으로 더욱 꺼리기 때문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