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중소제조업도 46.3점… 디지털 전환 ‘속도전’ 필요

제품생산이나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기술 활용 등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가 100점 만점에 41.9점인 것으로 조사돼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1일 이같은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중소기업의 글로벌 디지털 경쟁력 향상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스마트공장, AI기반 수요예측, 디지털 마케팅 등 디지털 전환의 핵심역량 요소 15개를 기반으로 한 이번 조사 결과 업종별로 제조업 44.6, 서비스업 37.5점으로 조사돼 업종에 따른 디지털 성숙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 중소제조업의 디지털 성숙도는 46.3점으로 40.1점인 내수 중소제조업에 비해 다소 높지만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여전히 역량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디지털 성숙도 상위 업종으로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관리(61), 전기장비·일반기기(56) 등이 있었고, 하위 업종으로는 창고·운송업 (25.8), 영상오디오물 관련업 (29)으로 나타났다.

기업매출에 따라서도 중소기업 디지털 성숙도의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매출액 100억 이상 50.9, 30억 미만은 38.3, 서비스업의 경우 100억 이상 44.9, 30억 미만은 32.9점으로 조사됐다.

또한, 수출실적이 30억원 이상인 기업의 디지털 성숙도는 53점으로 디지털 전환 대응 역량이 클수록 글로벌 경쟁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들은 디지털 전환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요구하는 정부지원책으로 컨설팅(49.5%), 온라인플랫폼 지원(37.5%), 디지털 관련 교육(33.2%), AI등 바우처 지원(14.4%) 순으로 응답했다. 특히, 수출기업의 경우 컨설팅지원(51.5%)과 온라인 플랫폼 지원(50.5%)이 높았으며, 수출 10억 미만 기업은 43.8%가 교육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는 비대면을 일상으로 만드는 등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시켰다, “다가오는 시대적 흐름을 거스를 수 없어 중소기업에 대한 컨설팅, 교육 등 적극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