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16일 ‘중국의 빅데이터 시장 트렌드와 시사점’ 발표
빅데이터 관련 20여개 행정기관, 46개 산업단지, 102개 데이터 플랫폼 운영
2025년에는 중국의 빅데이터 총량이 전세계 1/3 차지할 전망

중국의 빅데이터 시장이 급속히 발전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정부 주도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16일 발표한 ‘중국의 빅데이터 시장 트렌드와 시사점’에 따르면 중국의 빅데이터 시장은 2016년 이후 연평균 35.7%씩 급성장하면서 올해 시장규모는 84억70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빅데이터 총량도 2025년에는 48.6제타바이트에 달하면서 전 세계 빅데이터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5년부터 빅데이터 발전을 국가 발전전략으로 추진해온 중국은 현재 빅데이터관리국 등 20여개의 성급 빅데이터 관리 행정기관과 세제 및 투자유치 등 혜택을 제공하는 46곳의 빅데이터 산업단지가 설립돼 있다.

또한 상해·북경 등 주요 14개시에는 각종 분야의 데이터 판매와 구입이 가능한 빅데이터 거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일부 포함해 전국적으로 102개 지역급 행정데이터 개방 플랫폼을 운영하는 등 중국은 기업 우호적인 빅데이터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다. 

이와 함께 빅데이터의 실제 활용도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제조기업에서는 기업의 클라우드화, 스마트 공장, 프로세스 개선 등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금융 분야에서는 개인신용 평가, 자금 및 리스크 관리 등으로, 정부에서는 식품·의약품 관리 감독, 도시 치안과 범죄수사, 행정 데이터 정리·분석을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 등으로, 의료 분야에서는 의약품 개발 및 부작용 예측, 공공위생 등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모두 2016년 이후 2021년까지 연평균 20% 이상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보고서는 “최근 중국 빅데이터 시장 트렌드는 ▲‘빅데이터+’ 융합 발전 가속화, ▲신유통 결합 본격화, ▲데이터 보호·표준규범 수립”이라면서 “중국이 자국 데이터 통제와 중국 중심의 표준규범 수립에 박차를 가하면서 중국 시장 확대를 도모하는 해외기업에 제동을 걸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역협회 박소영 수석연구원은 “중국 내 빅데이터 서비스 사업을 구상하는 기업들은 데이터 이용자의 준수의무 규정을 숙지하고 파트너 기업과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등 사전 대응방안을 반드시 수립해야 한다”면서 “우리나라도 빅데이터 융합 신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기업의 디지털 접목을 지원하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제공]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제공]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