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매출액 대비 4.1%뿐…SW·전자상거래 분야선 더 큰 격차
투자액은 100분의 1 수준, 규제완화·세제지원 등 투자환경 개선 시급

최근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헬스케어, 정보기술(IT) 서비스 등 신산업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글로벌 기업에 비해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등 R&D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국내와 글로벌 R&D 투자 500대 기업을 산업별로 분석한 결과, 6대 신산업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의 R&D 집중도(매출액 대비 R&D 투자금액)가 글로벌 기업(12.0%)3분의 1 수준인 4.1%에 불과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6대 신산업은 제약·바이오·생명과학, 헬스케어, IT 서비스·소프트웨어, 인터넷·전자상거래,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부문별로는 6대 신산업분야 모두에서 R&D 집중도가 글로벌 기업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T서비스·소프트웨어, 인터넷·전자상거래 분야에서 각각 1.3%, 1.2%를 기록해 각각 12.5%, 11.6%를 기록한 글로벌 기업과 큰 격차를 보였다.

또한 우리나라 기업은 신산업 R&D 투자액 규모에서도 글로벌 기업과 격차가 더욱 커졌다.

 

글로벌기업 투자 한국의 100

지난해 국내에서 제약·바이오 분야 R&D 투자가 가장 많았던 한미약품의 투자액은 17000만 달러로, 세계 1위 기업인 로슈 투자액(1319000만달러)1.3%에 불과했다.

국내 IT서비스 분야 1위 기업인 삼성 SDS의 투자액은 6000만달러 그쳐 세계 1위인 마이크로소프트(180억 달러)1%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경연은 글로벌 500대 기업의 6대 신산업 평균 R&D 투자액은 기업당 247000만달러로, 국내 500대 기업 평균 R&D 투자액(2500만달러)100배 수준에 달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6대 신산업 분야별로 글로벌 R&D 투자 100대 기업에 속한 한국 기업도 총 13개사에 불과했다. 특히 제약·바이오·생명과학, 헬스케어, IT서비스·소프트웨어 등 3개 분야 R&D 100대 기업에는 한국 기업이 한 곳도 없었다.

 

국내 전통산업에도 뒤처져

국내 신산업 R&D 투자는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전통산업에도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500대 기업의 전체 R&D 투자에서 6대 신산업 비중은 8.0%에 그친 반면 글로벌 500대 기업의 신산업 R&D 투자 비중은 전체의 41.0%로 조사됐다.

주요국별 R&D 투자 500대 기업을 기준으로 봤을 때 미국은 6대 신산업 R&D투자 비중이 60.9%로 오히려 신산업 R&D 투자 규모가 전통산업의 1.5배에 달해 우리나라와 크게 대비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국은 반도체 등 IT 제조업 분야에서는 기술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으나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등 서비스업 비중이 큰 신산업 분야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면서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등 기업 R&D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미래의 주요 먹거리가 될 신산업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