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조사, 졸업 후 미취업 166만명…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시급
인력 부족률 29.4% …현 상태론 5년 뒤 모든 분야서 꼴찌 예상

졸업 후 미취업 청년이 올해 5월 기준 166만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미래 성장동력인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는 오히려 구인난을 겪고 있는 등 우리나라의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인재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의 4차산업혁명 분야별 협회 9곳을 대상으로 주요국 4차 산업혁명 인력경쟁력 현황 및 전망을 조사한 결과 올해 한국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인력부족률은 29.4%로 나타났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인력부족률은 업계 수요 대비 부족한 인력의 비율이다. 인력이 부족한 주요 기술분야는 드론(55%), 3D프린팅(35%), 로봇(35%)으로 모두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5년 뒤에도 인력경쟁력 최하위

5년 뒤인 2025년에도 4차 산업혁명 분야 인력부족률은 28.3%로 현재와 유사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드론 분야와 로봇 분야는 현재보다 각 20%P씩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의 인력 확보 애로사항으로 실무에 적합한 기술인력 부족(40.7%)’, ‘석박사 등 전문 인력 부족(33.3%)’, ‘예산지원, 규제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11.1%)’ 등을 꼽았다.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분야 인력 경쟁력도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4개국에 비해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인력 경쟁력 수준을 100이라 가정했을 때 미국 123.3, 독일 114.4, 일본 107.8, 중국 106.7 순이었다.

기술 분야별로 살펴보면 미국은 9개 분야 중 신재생에너지를 제외한 8개 분야에서 1(공동 1위 포함)를 차지했다. 독일은 4(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컴퓨팅기술), 중국은 3(블록체인,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일본은 2(블록체인, 첨단소재) 분야에서 1위였다.

한국은 한 분야에서도 1위에 오르지 못했고 인공지능 등 6개 분야에서 최하위였다. 다만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등 3개 분야에서는 중국을 앞섰다.

응답자들은 5년 후 우리나라의 인력 경쟁력도 이들 국가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121.1, 중국 114.4, 독일 106.7, 일본 104.4로 모두 한국보다 높고, 중국이 독일과 일본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술 분야별로는 미국은 9개 분야 중 컴퓨팅 기술을 제외한 8개 분야에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3(드론, 인공지능, 컴퓨팅기술), 독일은 2(3D프린팅, 신재생에너지), 일본은 2(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분야에서 1위일 것으로 예측됐다.

 

전공개설 등 교육 인프라 확충해야

한국은 2020년 중국에 앞섰던 로봇,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등 3개 분야에서도 중국에 따라잡혀 5년 뒤 모든 기술 분야에서 꼴찌일 것으로 예상됐다.

응답 협회들은 국내 4차 산업혁명 분야 인력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전공 개설 확대와 능력 있는 교수진 유치 등 교육인프라 확충(29.6%)’, ‘기술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 인력육성에 대한 제도적 지원 확대(22.2%)’ ‘산관학 협력 활성화(14.8%)’등을 꼽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신성장동력 부재에 따른 국내 산업생태계의 침하현상을 감안할 때 4차 산업혁명의 대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경쟁력의 핵심 요소는 인적 자본인 만큼 교육 인프라 확충 등 인재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