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전년 대비 수출 14.4%·수입 14.1% 증가... 교역규모 14.1% ↑
3년 만에 반등했으나 2017년 이전 무역 규모의 절반 수준 머물러

2019년 남북교역을 제외한 ‘북한 대외무역 규모’가 직전년 대비 14.1% 증가한 32.4억 달러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으나, 2018년도 급격한 교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UN제재가 본격 시행되기 전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KOTRA가 발표한 ‘2019년도 북한 대외무역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수출은 직전년 대비 14.4% 증가한 2.8억 달러, 수입은 직전년 대비 14.1% 증가한 29.7억 달러로 집계됐다. 무역 적자는 2018년도 23.6억 달러에서 2019년도 26.9억 달러로 14.1% 증가해 무역수지가 악화됐다.

최대 교역상대국인 중국과의 교역은 직전년 대비 13.6% 증가한 30.9억 달러(수출 2.2억 달러, 수입 28.8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적자 역시 14.1% 증가한 26.6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전체 교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도 95.8%에서 2019년도 95.4%로 소폭 축소됐지만 2년 연속 95%를 넘겨 높은 무역의존도를 기록했다. 원유 수입 추정액 2.9억 달러(2018년은 3.1억 달러 추정)를 제외하더라도 94.9%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중국에 이어 러시아, 베트남, 인도가 북한의 2, 3, 4위 교역국에 이름을 올렸으며 베트남,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가 새롭게 10위권에 진입했다. 중국, 러시아를 제외한 10위권 국가가 북한 대외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1%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한편 2017년에 채택된 UN결의안에서 대북교역 제재품목을 대폭 늘리면서 결의안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공업 제품이 2018년부터 북한의 주요 교역품목으로 자리잡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 최대 수출품목은 시계 및 부분품(HS 91)으로 2018년 1,533.7% 증가율을 기록한 데 이어 2019년에도 57.9% 증가세를 이어가며 수출 1위 품목에 올랐다. 또한 가발이 포함된 조제우모·솜털 및 그 제품(HS 67) 수출은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40.9% 늘어나며 수출 3위를 기록했다. 전시용 모형이 포함된 광학·의료기기·부품(HS 90)도 47.5% 증가율을 보이며 수출 5위 품목으로 급부상했다. 북한 현지 노동력을 활용한 임가공 제품이 광물성 연료를 대신해 북한 수출을 견인하는 모양새를 나타내고 있다.

북한 최대 수입품목은 2018년과 같이 원유·정제유 등 광물유(HS 27)로, 3.5억 달러를 수입해 전체 수입의 11.7%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플라스틱 및 그 제품(HS 39), 인조필라멘트 섬유(HS 54), 동식물성 유지 및 분해생산물(HS 15) 등 수입 상위품목은 직전년과 다르지 않으나, 식량부족 영향으로 곡물(HS 10) 수입이 직전년 대비 242% 증가세를 기록하며 새롭게 수입 5위를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KOTRA는 “2019년 북한 대외교역은 중국 편중현상, 경공업 품목 위주 수출입 증가 등 전체적인 교역 틀이 직전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2018년 교역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로 지난해 전체 교역규모가 반등하기는 했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5월까지 북한-중국 교역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한 것을 봤을 때 2020년에는 교역 증가세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