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보고서, 식품·의류 등 생산비중 낮아도 고용비중은 높아

우리나라 제조업의 특정업종 쏠림현상 완화와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식품과 의류 등 저()기술산업군에서 연구개발(R&D)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달 23기술수준별 제조업의 R&D 집중도와 성장률 국제비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조업에서 생산 비중이 낮은 의류, 섬유, 식음료 등이 고용 비중은 높은 편이고, 전기전자기업은 생산 비중은 가장 높지만 고용 비중은 낮다.

또한 생산 비중과 고용 비중간 격차가 2017년 기준 16.05%포인트로 선진국에 비해 큰 편이다. 영국은 1.77%포인트, 프랑스는 4.82%포인트, 이탈리아는 1.9%포인트에 그친다. 미국도 11.89%포인트로 한국보다 낮다.

이태규 연구위원은 부가가치 창출을 소수 업종에 의존하면서 고용은 그렇지 않은 구조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는 제조업을 기술 수준별로 저기술, 중저위기술, 중고위기술, 고기술로 나누고 ‘S&P 캐피털 IQ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각 기술수준별 대표 업종에서 연구개발 활성화 정도를 비교했다.

우리나라와 세계 주요 상장기업(자산기준 세계 100대 이내 기업)R&D 집중도(매출액 대비 지출)를 보니 우리나라 대표 저기술업종은 R&D 집중도가 매우 낮았다. 이 연구위원은 “R&D 집중도가 낮은 것은 매출액 대비 혁신 활동이 소극적이라는 의미로, 높은 부가가치 창출과 양질 일자리 창출이 어려움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