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래가구 특별추계]

65세 이상 1인가구 24→49%
부부가구는 70대가 가장 많아

가구주, 65세 이상이 절반 차지
총가구수는 2040년부터 감소

앞으로 28년 뒤에는 전체 가구 중 ‘1인가구부부가구의 비중이 크게 늘어 60%에 다다를 전망이다. 반면 현재 가장 일반적인 부부+자녀 가구의 비중은 현재의 반 토막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인가구 주된 가구 형태 될 것

지난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가구 특별추계 20172047자료를 보면 2017년 전체 가구 중 1인가구의 비중은 201728.5%(5583000가구)에서 204737.3%(832만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에서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 형태가 된다는 의미다.

1인가구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증가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1인가구는 201730(17.4%)가 가장 비중이 컸지만, 2047년에는 70(21.8%)가 가장 큰 비중으로 올라서게 된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의 비중은 24.1%에서 48.7%로 절반 가까이 뛰어오를 전망이다.

두 사람이 한 가구인 부부가구의 비중도 증가한다. 201715.8%(3093000가구)에서 204721.5%(4794000가구)로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부부가구 가구주의 연령대는 201760(31.7%)가 가장 많았지만, 2047년에는 70(34.2%)가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1인가구와 부부가구의 비중은 201744.3%에서 30년 뒤에는 58.8%로 전체의 3분의 2에 가까워진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최근 가장 주된 가구 형태인 부부+자녀 가구의 비중은 30년 새 반 토막 날 전망이다.

201731.4%(615만가구)를 차지했던 이 유형의 가구는 2047년에는 16.3%(3638000가구)로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고령가구가 전체의 절반 차지

장래에는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고령화가 심화돼 가구주의 나이가 많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은 40~50대 가구주가 전체의 46.7%로 가장 많았으나 30년 뒤인 2047년에는 60~70대의 비중이 41.2%로 가장 높아질 전망이다.

2017년에 남자 가구주는 50대가 17.7%로 가장 많고, 여자 가구주도 50대가 6.3%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2047년 남자 가구주는 70대가 14.2%로 가장 많고, 여자 가구주는 80세 이상이 7.7%로 가장 많은 연령대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가 많이 늘어나 2047년에는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게 된다.

고령자 가구는 20173998000가구에서 204711058000 2.8배 증가한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4%에서 49.6%로 배 이상 뛸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내 총가구 수는 201719571000가구에서 서서히 늘어나 204022651000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이듬해부터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204522456000가구로 떨어진 뒤 2047년에는 22303000가구까지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 내놨던 추계와 비교하면 가구 정점이 3년 앞당겨진 셈이다. 당시에는 204322341000가구까지 증가했다가 다음 해부터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