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교역이 활성화돼 무역 활동을 한 기업 수와 교역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세청이 지난달 28일 공개한 기업무역활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무역 활동 기업은 전년보다 3.4% 증가한 228676개사, 무역액은 7.9% 늘어난 11116억 달러로 집계됐다.

무역 종사 회사나 교역액 모두 역대 최고치다. 관세청은 수출과 수입을 모두 하는 기업은 1개로 간주해 무역활동기업 통계를 집계한다.

수출 기업은 97388개사로 전년 대비 2.3% 늘었고 수출액은 6035억 달러로 5.5%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 중 화장품에서 업체 수가 674개사(10.9%) 늘었고 교역액은 127000만 달러(25.9%) 증가해 업체 수와 교역액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는 활동기업 전체 수출 증가율(업체수 2.3%·수출액 5.5%)보다 약 5배 높은 수준이다.

수입 활동을 한 기업은 188182개사로 3.7%, 수입액은 5081억 달러로 10.8% 늘었다. 수입 품목 중 의류에서 업체 수는 1489개사(9.6%) 증가했고 교역액은 8억 달러(15.2%) 늘어 가장 크게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활동기업 전체 수입 증가율(업체수 3.7%·수입액 10.8%)에 비해 각각 2.6, 1.4배 높은 것이다.

지난해 무역시장에 새로 진입한 기업은 59588개사로 전년보다 3.6% 증가했고, 무역활동을 중단한 퇴출 기업은 52123개사로 0.4% 늘었다.

전체 무역 활동 기업 대비 진입 기업을 뜻하는 진입률은 26.1%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높아졌고, 퇴출률은 23.6%0.5%포인트 낮아졌다.

수출기업의 진입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43.9%)이며 그 다음으로 인천(41.2%), 제주(40.1%), 부산(37.9%), 전북(37.8%) 등 순이었다.

퇴출률이 제일 높은 곳은 인천(43.8%)이고 제주(38.7%), 경북(36.4%), 세종(35.9%), 광주(35.4%)가 뒤를 이었다.

수입기업은 제주에서 진입률(48.4%)과 퇴출률(45.2%)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수입 기업 수가 많은 상위 10개 품목을 분석한 결과, 수출 진입률은 종이(44.9%), 공구(44.6%), 고무제품(43.8%), 화장품(42.8%) 등 순으로 높았다. 퇴출률은 공구(42.9%), 종이(42.5%), 고무제품(42.5%), 철강제품(39.4%) 등 순이었다. 수입은 인쇄서적에서 진입률(51.1%)과 퇴출률(49.9%)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시장 1년 생존율은 수출 기업은 49.8%, 수입기업은 52.1%였고 5년 생존율은 수출은 17.4%, 수입은 18.3%이었다. 수출 기업의 1년 생존율은 충남(49.9%), 수입은 경기(53.5%)가 가장 높았고 5년 생존율은 수출입 모두 세종(22.5%, 27.4%)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품목에서 1년 생존율은 산동물(53.8%), 5년 생존율은 화약류(21.1%)에서 가장 높았고 수입은 육류가 1년 생존율(60.2%)5년 생존율(35.8%) 모두 제일 높았다.

수출증가율이 최근 3년 연속 우리나라 평균증가율 이상인 수출 성장기업은 3902개사(4.0%)이며, 그 중에서 수출 시장에 진입한 지 5년 이하인 가젤기업수는 1237개사(31.7%)로 집계됐다.

수출 성장기업은 경기(1020, 26.1%), 서울(863, 22.1%), 인천(640, 16.4%) 등 순으로 분포했다. 품목별로는 기계 및 컴퓨터(806), 플라스틱(599), 광학기기(556) 순으로 성장기업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수출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수출 공헌율을 봤을 때 지역별로는 경기(23.7%), 충남(15.2%), 울산(11.6%), 서울(10.7%), 경북(6.8%) 순으로 상위 3개 지역이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50.6%)을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전기제품(반도체포함)(30.6%), 기계·컴퓨터(12.8%), 자동차(10.1%) 순으로 역시 상위 3개 품목이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53.5%)이었다.

기업유형별로 봤을 때 선도기업(91.2%), 유망기업(4.0%), 강소기업(2.8%), 초보기업(2.0%) 순으로 수출 공헌율이 높았다. 업체 수 기준으로는 3.5%에 불과한 선도기업이 전체 수출을 주도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