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희(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중소기업의 경쟁력 증대는 국가적인 과제이고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동안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에서 조직화와 협업화는 변함없이 주요 정책사업에서 빠지지 않고 이어져 왔다.

그동안 정부의 협업화 정책은 제조업 중심이었고 업종별 협동조합 육성이 주를 이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중소기업의 정책 영역이 확대되면서 중소유통을 위한 정책은 협동조합 지원의 협업화 정책과 나들가게와 같은 조직화 육성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정책의 성과는 가시적으로 잘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높이려면, 수평적 그리고 수직적 네트워크화 모두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주도하는 주도자가 필요하고 그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즉 수평적 수직적 네트워크의 매개자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전문 코디네이터가 필요한 것이다.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는 전문성, 도전성, 창의·혁신성, 리더십이 필요하다.

사실 이제는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스마트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산업환경이 많이 바뀌고 있기에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도 시대적 상황에 맞게 변화돼야 한다. ICT를 활용해 중소기업들의 조직화 및 협업화의 성과를 높여줄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변화에서 네트워킹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방향은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동일 업종끼리의 협업화를 넘어서서 이업종 간에도 네트워킹을 통한 시너지를 보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조직화와 협업화를 분리해 이뤄 나가는 것이 아니고 네트워크를 매개로 조직화와 협업화가 융합하며 그 힘을 보이는 것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한 경쟁력 증대에서 이탈리아의 네트워크 계약법은 벤치마킹해야 할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기업 간 협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협업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2009년 7월 ‘네트워크 계약법’을 제정해 시행하면서 여기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성장률이 크게 높아지는 등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협업화와 조직화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 없이는 정부가 아무리 조직화하고 협업화 하자고 하더라도 성과가 크게 나타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 됐다는 네트워크 계약법은 벤치마킹의 가치가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한국의 특수한 상황을 잘 반영해 한국 실정에 맞도록 도입하는 방안이 잘 강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과 중소기업 간,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또한 정부와 중소기업 간 효과적인 네트워크의 구축은 그 무엇보다 필요해 보이며, 이를 위해서 조사와 연구를 통한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네트워크에 있어서 과거에는 오프라인, 하드웨어 중심이었지만, 이제는 ICT를 매개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길이 개척되고 있다.

따라서 조직화와 협업화가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길은 찾는데 있어서, 중소기업들의 새로운 차원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며, ICT 발전과 함께 그 환경은 더욱 좋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네트워크가 성과를 가질 수 있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의 역할이 필요하다.

경쟁력을 갖춘 코디네이터가 판로 개척, 생산기술개발의 네트워크화, 마케팅의 네트워크화를 주도하며 중소기업의 판로, 생산, 연구개발, 마케팅의 경쟁력을 높여줘야 할 것이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이해서 ICT를 활용한 네트워크 환경 구축과 함께 네트워크를 통한 중소기업 경쟁력을 높이는데 산·관·학이 힘을 모아야 하겠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