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이 전통적으로 애로를 겪는 자금·기술·판로 3대 부문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최근 10년간 정부의 대·중소기업 정책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이런 기조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추가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中企 해외동반 진출 수출액 9배 증가
자금 부문을 보면 하도급거래에서 원사업자가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이 2012년 47.6%에서 2013년 47.8%, 2014년 51.7%로 증가해 수급업자의 자금 확보 부담이 낮아졌다.
또한 부실어음으로 인한 연쇄부도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 2005년부터 도입된 전자어음은 2014년 발행건수가 187만여건으로 종이어음의 지급제시건수 107만여건을 앞질러 기업간 거래안정성도 높아졌다.

대·중소기업의 기술협력도 늘어나는 추세다. 중소제조업체가 외부와 공동으로 기술개발에 나설 때 대기업과 협력하는 비율이 2012년 16.1%, 2013년 16.2%, 2014년 23.0%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중소기업의 판로난 해소에 대기업과의 협력이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소기업 해외동반진출 규모는 수출계약액 기준으로 2012년 2100만 달러에서 2014년 1억 8100만 달러로 2년새 9배 가까이 증가했다.

보고서는 이처럼 최근 대·중소기업간 협력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기업간 협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꼽았다.

실제로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협력사의 경쟁력 제고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사내 동반성장 전담조직 설치, 협력사 지원 확대, 협력사와의 소통강화 등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동반성장위원회의 ‘2015 동반성장백서’에 따르면 2015년 9월 기준으로 200대 기업의 73.%가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설치해 운영 중이고, 30대 그룹은 판매·구매, 생산성, R&D, 보증·대출, 해외판로, 인력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사를 지원해 2014년 지원규모가 총 1조 6844억원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고, 2011년부터 4년간 연평균 3.2% 증가율을 보였다.

최성호 경기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무엇보다 대·중소기업 협력이 중소기업뿐 아니라 대기업의 경영성과에도 유익하다는 인식이 중요하므로 성공사례의 공유와 제도적 인프라의 확충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현금성 결제 세액 공제 대상 확대 필요
대한상의는 대·중소기업 협력사례 확대를 위한 방안 중 하나로 납품대금의 현금성결제에 대한 세액공제 대상 확대를 제안했다. 현재 중소기업간 거래로 한정된 적용대상을 중견기업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통해 자금부문에 하도급거래에서 원사업자가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비율이 2012년 47.6%에서 2013년 47.8%, 2014년 51.7%로 증가했다.

또 기업 간 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취득·대여 등에 세제지원을 중견기업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중소기업이 협력해 신흥시장을 개척하면 무역보험료 부담을 더욱 낮춰주는 등 판로개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시장에 대·중소기업 파트너십이 확고하게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현금성결제 세액공제 대상 확대, 기술협력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대·중소기업 해외시장 동반진출 지원 확대 등 그동안 추진해온 제도를 지속 보완하고 확대해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