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한때 우리 경제는 평균 성장률이 7%를 넘나들던 호시절이 있었다. 혹독했던 외환위기 시절에도 5%는 달성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2011년부터 경제성장률이 4년 연속 4%를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도 저성장이 고착화되고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다.

우리나라는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는, 이른바 30-50 클럽국가 가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자원도 자본도 부족한 나라에서 일궈 낸 놀라운 성과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앞으로 30-50 클럽을 넘어 선진국으로 지속성장할 수 있을지 여부는 예측할 수 없다.

그만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다. 당장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가 세계경기 부진이라는 암초를 만난 것도 부정적 요인이다. 중국을 비롯해 신흥국의 거친 도전도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 인구구조의 변화도 그러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대기업 중심의 경제구조가 한국경제의 성장 동력으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점이다.

대기업 위주 경제구조 한계
물론 우리나라가 이만큼 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대기업 정책의 기여도를 부정하기 어렵다. 정부가 경제정책의 중심에 대기업을 두고 전폭적인 지원을 통한 압축적인 성장을 달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급자 중심의 경제정책은 이제 한계를 맞았고 저성장시대에는 수요자 중심의 경제구조로 바꿔야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필자는 수요자 중심의 경제구조를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이해하고 있고 이를 위한 정책적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선 대기업 중심 경제구조의 대표적인 문제인 양극화를 해결해야 한다. 대기업의 시장지배력으로 인해 중소기업과의 불공정 거래가 대두되고, 우수 인력을 비롯한 자원을 소수 대기업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창업과 혁신, 중소기업의 성장이 활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기업생태계를 훼손한다.

따라서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에서는 대기업의 불공정행위를 적절하게 규제하는 장치도 필요하다. 또한 엄정한 법 집행을 통해 불공정을 시정하고 우수하고 질 좋은 자원과 자본이 중소기업에게 흘러들어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사업기회가 보장되고 스스로 발전할 수 있으며 지금보다 더 건강한 경제구조와 사회가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부가 발표하는 수많은 정책과 대책들도 중소기업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 대책을 만들어 줬으니 알아서 쓰라는 공급자 중심의 정책은 이제 통하지 않는다. 오히려 어떻게 해야 수요자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쉽게 알고 접근할 수 있는지 근본적인 문제부터 접근해야 한다.

또한 정책의 과실을 대기업만 누리고 중소기업은 소외되는 것이 아닌지도 다시 한번 면밀히 들여다봐야 한다.

필자는 중소기업 정책이 곧 대한민국의 경제정책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만들 수 있다. 지난 수십년간 유지해 온 경제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일은 쉽지 않겠지만 우리 경제는 지금 좌고우면할 시간이 없다.

中企정책이 곧 국가경제정책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따라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을 비롯해 신흥국들의 거친 도전도 뿌리쳐야 한다. 그래서 하루빨리 저성장의 터널을 벗어나 명실상부한 선진국 대열에 동참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우리는 세월호 사고를 통해 골든타임이 얼마나 중요한지 귀중한 교훈을 얻었다. 경제구조를 대기업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과감히 전환하는데 필요한 귀중한 골든타임은 지금부터 시작됐다. 정부의 적극적인 실천과 중소기업의 노력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이유이다.

■이 글은 중앙일보 4월3일자 오피니언면에도 함께 게재됐습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